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
유전
자 치료제 해결사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글리베라는 바이러스 운반체를 이용해 효소
유전
자를 직접 세포 핵 안에 전달하는
유전
자 치료제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가격이 100만 달러(약 11억 원)를 웃돌아 ‘지구에서 가장 비싼 약’으로 불리며 시장에서 외면을 받았다. 올해 4월 글리베라를 개발한 네덜란드 유니큐어는 “올해 10월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유전
자 치료연구 80%가 바이러스 이용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킴라이아와 임리직은 둘 다
유전
자를 이용하는 방법임에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둘을 각각
유전
자 치료제와 바이러스 치료제로 분류했다.
유전
자 치료는 킴라이 ... 질병
유전
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배아 단계에서
유전
자가 교정되면 자손에게 질병
유전
자가 전달되지 않는다 ... ...
왼손잡이의 비밀, 아프리카 물고기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것으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뇌 신경구조 비대칭성에 대해 해부학과
유전
학 등 두 가지 면에서 동시에 조명한 첫 연구"라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행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비롯된 걸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다소 뻔한 얘기를 하고 있다. 즉
유전
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경험을 통해 뇌의 네트워크가 바뀌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 뇌가소성의 중요성 매리언 다이아몬드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뇌 연구로 유명해졌지만 사실 뇌과학의 ... ...
[세상에 없던 연구, 평가는?] 미국, 한국식 정년 보장 없는 국립보건원 편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NIH 내부 연구 프로그램 담당 부원장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크리스퍼 (CRISPR-Cas9)
유전
자 가위’처럼 완전히 새롭고 혁신적인 연구 주제는 연구자의 과학적인 연구 능력과 잠재적 가능성을 평가한다”고 말했다. 특히 기초연구가 30% 정도를 차지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의 경우 평가에서 연구의 ... ...
힘을 특유의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메타물질이 지진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7.11.26
장식했다.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금속이나
유전
물질을 특정 구조나 모양, 방향으로 설계해 배열시킨 것이다. 이번에 만든 물질은 위에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좌우 회전하는 힘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찌그러지지 않는 대신 좌우로 뒤틀리게 된다 ... ...
까다로운 혈관 재생 비밀 풀었다... 혈관 질환 치료 전기 마련돼
동아사이언스
l
2017.11.26
밝혔으니 다음 목표는 에이케이티 신호를 촉진해 치료에 직접 이용하는 것”이라며 “
유전
자 치료나 약을 병행해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23일자에 실렸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넣어도 해독이 가능해 이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했다.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는 “
유전
정보를 2세대 기술보다 100배 이상 길게 읽어서 조합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며 “작년 아시아인 게놈을 해독했을 때 팩바이오를 활용했다”고 말했다. 옥스퍼드 나노포어는 비교적 최근 등장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유전
자의 발현량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PNB1는 연구가 별로 되어 있지 않은
유전
자인데 조사결과 몇몇 암에서 그 산물인 KPNB1 단백질의 농도가 높았다. KPNB1 단백질은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할 경우 ... ...
머리 안 나는 '망가진 모낭'도 회복...탈모 치료 새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모낭세포(머리카락을 만드는 세포)에서 윈트의 신호 전달 단백질
유전
자의 스위치를
유전
학 기술로 '끄는' 방식으로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했다. 스위치가 꺼진 쥐는 그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신체나 행동의 변화를 보면 단백질의 기능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CXXC5라는 단백질이 머리카락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