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를 차지하고 있는 17만여개의 중소기업들은 필자가 알기로 색채조절에 대한 인식이 아주
초
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색채조절로 인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은 산업복지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긍정적인 투자임을 하루빨리 인식해야 한다.1991년 국내에서 발표된 '국교 교사의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뿐이다. 그래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구조는 앞으로도 상상을
초
월할 정도로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기계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단지 버튼 하나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편의주의에 빠질 염려가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자신에 맞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이 ... ...
2. 차세대 디스크 장치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보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스나 응용소프트웨어에서는 하드디스크로 인식되므로
초
고속 하드디스크라고 할 수 있는데 MB당 단가가 비싼 것이 흠이다.실리콘 디스크의 동작은 EMS(확장메모리)와 유사하다. 메인메모리인 6백40KB보다 큰 영역에 실리콘디스크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창이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개발상황은 어떠한가. 현재 발표된 것으로는 고려대 연구팀이 개발한 국내 최
초
의 KARV-1호가 있다. 이 차량은 기본적인 도로주행 및 장애물감지능력을 가지고 있다. 외국사례와 비교해 놀랄만한 사항은 KARV-1호의 시스템은 아주 저가의 장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컴퓨터의 경우 외국은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조치를 취한다는 것이 어느 일방에게만 전적으로 혜택이 돌아가거나 또는 더 큰 피해를
초
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과학자들이 환경문제를 새로운 연구비의 돌파구로만 파악하는 상황을 비판하고, 예를 들어 체르노빌 사고 이후 근처의 순록을 절멸시킨 것은 지역주민에게 방사능 이상의 심각한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밑이라 하더라도 절반 정도의 잡
초
만이 발아를 하는 것이다.따라서 만약 당신이 잡
초
와 무관하다 해도 밝고 어두움의 리듬을 잘 살피는 것이 좋을 것이다. Rhythmic alterations of day and night rule our planet and everything on it. Several recent news items-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대략 태양-금성거리 정도였다.다른 천문학자들은 이 발견에 회의적이었다. 왜냐하면
초
신성 폭발의 결과 별의 질량이 줄어들어 펄사는 행성을 묶어두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1969년과 1979년에도 펄사행성을 발견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그것은 오류로 판명됐기 때문에 이번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훌륭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27일 12시경 달과 금성이 최접근하지만 낮이기 때문에
초
보자는 이것을 확인하기 어렵다. 그래도 저녁 6시경에는 달과 금성이 약 4.5º정도 떨어져 있게 된다.■지구 태양 화성의 일직선1988년 화성의 대접근 때 화성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를 무안하게 만들었고,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어찔어찔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우주멀미는 무중력상태에 들어가서 최
초
24시간 이내에 시작돼 2일 정도 계속되는데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중력상태에 대한 생리적인 연구가 선진국에서 지금 한창 진행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이곳에서 21세기를 주도할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 혜성 관측의 마지막 시기는 12월 중순이었다. 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12일은
초
저녁 무렵에 달의 영향에서 벗어나 관측할 수 있는 때로 많은 아마추어들이 망원경을 겨누었다. 이 무렵의 박명시 고도는 약 15도 정도로 많이 낮아지기는 하였으나 혜성이 밝아 관측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12월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