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걀 속의 작은 수소폭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슈퍼달걀을 만든다면 맥가이버 아저씨도 놀라겠죠? 말랑말랑한 달걀도 만들 수 있어요.식
초
에 생달걀을 담가두고 하루정도 놔두면 돼요(콜라에 담가두어도 돼요). 식용 색소를 첨가해서 껍질이 모두 녹기 전에 꺼내면 여러 색의 말랑말랑한 달걀이 되고, 그대로 계속 담가두면 껍질 안쪽의 반투막에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아모코 카디즈에서 유출된 22만8천t의 원유로 4백㎞의 해안이 오염되었을 때에도 좌
초
지점으로부터 10㎞ 이내에서 3종의 어류가 폐사하였고, 청어류의 알은 90% 이상 부화하지 않았으며, 치어의 경우에는 유류오염 사고 후 심한 성장장애가 나타나기도 했다.국내에서도 매년 2백여건 발생경질유의 ... ...
1.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스테핑 모터와 헤드 등 기구적인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지난해
초
까지만 해도 미국업체들에 의해 기술 및 공급이 주도되어 왔다. HDD의 터줏대감격인 시게이트사가 5.25인치 크기에 ST-506 인터페이스로 시장을 주도하다가 그후 코너사에 의해 3.5인치 AT버스 인터페이스로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떨어뜨리더라도 1천만 이상의 도쿄 시민이 소개돼야 할 것이라도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초
현대식 무기를 갖춘 구축함이 호위를 하고 네겹으로 된 각종 용기로 포장을 한다 하더라도 플루토늄 해상수송은 역시 위험한 작업임에 틀림없다.임진왜란과 일제 36년을 겪은 우리이기에 일본이 경제대국에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있다. 이렇듯 기
초
과학의 발전은 인류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이제 기
초
과학 분야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환기를 만들기 위해 전 세계의 고에너지물리학자들이 총력을 기울여 국제 공동연구에 참가하고 있다. 이 때 한국의 고에너지 물리학자들 또한 이 시대적 소명에 동참할 수 ... ...
프랑스의 미래도시 퓨처로스코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새로운 영상투영방식으로 70㎜필름이 1
초
동안에 60장면이나 영사된다(일반영화는 1
초
에 24장면이 영사됨). 따라서 망막이 시각적 환상을 일으키게 된다. 관객들은 영화장면 안으로 빠져 들어가게 되며 완전한 실체감을 느낀다.다이내믹(Dynamic)영상관은 그보다 한수위다. 쇼스캔에 의한 특수한 효과를 ... ...
러시아의「나는 실험실」미국에 착륙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미 해양대기국(NOAA)의 지구물리학자 듀허스트가 7개월간 노력한 결과 성사됐다. 그는 92년
초
모스크바의 그로모프비행실험소에서 이 '나는 실험실'을 보고 이를 미국에 전시해야겠다고 생각, 소련과학자들과 미국 당국자들을 끈질기게 설득했다.이류신에 탑재된 장비는 정밀한 과학탐사에 이용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때 물통속으로 바닷물이 들어온다. 이 물은 직경 63㎛인 가는 체에 의해 걸러진다. 1
초
당 2백ℓ의 물이 여과되는데 그 정도의 여과속도라면 동물성 플랑크톤은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다고 한다. 동물성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체의 크기는 양어장의 물고기들의 발전단계에 따라 달라진다.퀸은 자신이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도전하는 전략을 택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현실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
초
과학이 전혀 무시돼서도 안될 것이다. 여기서 산업기술을 강조하는 것은 중단기적 정책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우리의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미다.우리나라 기술혁신체제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투자의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못하고 붕괴해 버린다. 아마 원자번호가 더 큰원소를 합성한다면 이 원소들은 불과 몇
초
이상을 견디기 힘들 것이다. 이렇게 짧은 수명을 가진 것도 원소라고 할 수 있을지는 원소에 대한 정의의 문제가 될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원소인 것만은 틀림없다. 일단의 과학자들은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