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바로 주인공! 또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과 바이러스, 피부에서 떨어져 나오는 각질들도 모두 미세먼지 친구들이야. 이 친구들은 많지는 않지만 다 같이 실내에서 살고 있는 가족이지!향은 좋은데, 방향제방향제, 향수, 살충제 등 향이 나는 제품에는 대부분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들어 있어. 이 물질을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확인하며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기내식과 연료를 채워 넣어요. 먼저 실어 온 화물을 모두 내리고, 새로 온 위탁수하물을 무게와 크기에 따라 다시 화물칸에 넣는 작업도 빼놓지 말아야겠죠. 출발 1시간 전쯤 모든 준비과정이 끝나면 새로운 승객을 맞는답니다.공항탐험 5단계 탑승게이트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봤을 때 깜빡이면 별이고, 깜빡이지 않으면 행성이랍니다. 맨눈으로 볼 때 행성이나 별은 모두 아주 작은 점이에요. 하지만 실제는 그 크기와 거리가 조금씩 다른데 우리 눈이 그 차이를 잘 알지 못하는 거죠. 점으로만 보이는 별은 공기가 흔들리면 쉽게 방해를 받아 별빛이 사라졌다 나타난답니다. ...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셈이에요.헬리콥터와 비행기의 장점만! 틸트로터 비행기헬리콥터와 비행기의 장점을 모두 가진 틸트로터에는 사람이 탈 수 있는 유인기도 있어요. 헬리콥터는 활주로가 없어도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낮은 고도에서 느리게 날아요. 그래서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기에 좋지요. 반면 비행기는 활주로가 ... ...
- 괴짜 천문대장, ‘저벼리 빈나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이 문제를 맞혀서 1등 상품을 탈 수 있을까?행운의 1등 당첨 선물은?“네~, 드디어 문제를 모두 풀어보았습니다. 어때요? 천문공부도 하고 재미있는 퀴즈도 풀고 재미있었죠! 그럼 퀴즈 이벤트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1등은 바로 썰렁홈즈!”썰렁홈즈가 가장 많은 문제를 풀어서 1등이 되었다. 감격의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입는 컴퓨터를 제대로 만들 수 있고, 유리창이나 벽면, 버스정류장, 지하철의 안전망 모두를 디스플레이로 바꿀 수 있지. 더 빨리 쓰일 곳은 자동차 앞 유리야. 지금은 내비게이션을 따로 달지만, 투명 디스플레이를 누구나 쓸 수 있게 되면 자동차 앞 유리가 디스플레이가 돼 내비게이션을 따로 달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한단다. 즉 자기장 안에 있는 물체는 모두 자석의 힘을 받는 거야.자기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자기장은 넓어지지. 또 자기장 안에서 자기력은 금속이나 자석을 제외한 여러 가지 물질을 통과할 수 있어. 플라스틱이나 물, 고무, 유리, 심지어 인체까지 막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될 것이라고 해요.노란 꼬리, 파란 꼬리태양계 밖은 매우 춥기 때문에 물질 주변기체들이 모두 얼어있는 상태예요. 태양과 가까워질수록 점점 녹아 그 안의 먼지가 함께 분출되는 것이 바로 혜성의 꼬리지요.파란색은 이온꼬리예요. 태양열에 녹아 생긴 기체들이 이온이 되어 만든 꼬리지요. 이 ... ...
- 멸종위기 바다거북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큰일 났어요! 지금 단비가 수술을 해야 할지도 모른대요~. 단비가 누구냐고요? 지난 8월 22일, 제주 바다에서 구출된 매부리바다거북이에요. ... 단비처럼 아파하는 바다 생물들이 없었으면 좋겠어.단비야~, 어서 기운을 차리고 다리도 모두 나아서 멋지게 수영하는 모습 꼭 보여줘~. 사랑해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외계행성이라고 하지. 1988년 최초의 외계행성을 찾 은 뒤 지금껏 찾은 외계행성 수는 모두 999개나 된다는 말씀~! (2013년 10월 21일 기준) 과학자들은 외계행성을 찾으려고 우주에 케플러망원경을 보내 사진을 찍기도 하고, 적외선이나 자외선 같은 빛을 찾아서 분석하기도 해. 깜빡이는 빛인 펄사 로 ... ...
이전4904914924934944954964974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