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윌리엄 보인턴 박사는 기자회견에서 화성에서 물을 찾았다고 공식 발표했다. 처음으로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물이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은 주역은 탐사로봇 ‘피닉스’다. 피닉스는 2008년 5월 25일 화성 북위 68° ‘바스티타스 보레알리스’ 지역에 착륙한 뒤 10월 현재까지 땅을 파고 토양을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접하는
지구
외 행성 탐사 계획은 거의 JPL에서 주관한다고 보면 된다. 천체물리학이나
지구
과학 연구에 쓰이는 인공위성이나 감지기를 개발하는 일 또한 JPL의 몫이다.JPL 1년 예산은 16억 달러(약 2조원)로 현재 5000명의 정직원과 2000명의 계약직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인 직원은 약 80명 정도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24절기 중 동지를 나타내고 동지 때 태양은 천구의 적도보다 23.5° 아래쪽에 놓인다. 달과
지구
의 공전궤도면이 일치한다고 가정했으므로 달은 같은 면의 태양 반대쪽에 놓인다. 그림에서 밤의 지평선(④)과 달이 이루는 각인 보름달의 남중고도(h′)는 90°-φ+23.5°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보름달의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위한 새로운 방법들이 모색됐다. 게다가 산업혁명 이후 화석에너지의 과다 사용은
지구
온난화 같은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사람들은 유전자변형생물체(GMO)가 식량부족 문제, 환경 문제 그리고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 ...
지구
의 지배자,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개미는
지구
에서 가장 번성한 동물이에요. 그 어떤 동물보다 개체수가 많거든요. 또 개미는 생명력이 강해 극지방만 빼고 세계 모든 곳에서 살아가고 있지요. 개미가 이처럼 번성할 수 있는 것은 수많은 개미가 무리지어 사회생활을 하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몸집은 작지만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 ...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오염시키는 공해 물질을 내놓으면 안 되지. 아무리 저렴하고 계속 쓸 수 있는 에너지라도
지구
를 못살게 군다면 바로 탈락!2 또 하나! 무한해야 하네. 내가 퇴임을 앞두고 전세계가 에너지 왕국의 미래를 걱정을 하는 걸 보니 정말 가슴이 답답했다고. 언젠가 또 새로운 후계자를 뽑느라 고민할 걸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탐사도 계속됩니다. 보이저 탐사선은 이미 태양계 저 끝에 닿았으며 허블우주망원경은
지구
궤도를 돌며 우주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의문에 답을 찾고 있습니다. 또 피닉스 같은 탐사로봇은 사람을 대신해 화성에서 부지런히 탐사를 하고 있습니다.항공 분야에서 이룬 업적도 놀라울 뿐입니다. 민간 ... ...
저탄소경제 본격적으로 시작되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탄소캐시백은 개인의 경제활동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세계 최초의 시도”라며 “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도 높이고 온실가스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환경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등에 대한 지식도 배운다.어떤 학생을 원하나요? 화학을 좋아하고 화학과 생물, 화학과
지구
과학 등을 연계시켜 크고 넓게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한다. 환경재료공학은 연구 범위가 넓고 융합학문으로 주목받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또 목표 의식이 강한 학생이 적합하다.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된 ... ...
[
지구
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진파의 진동수와 건물의 고유진동수가 비슷하면 건물은 더 큰 피해를 입는다.서울대
지구
환경시스템공학부 김재관 교수는 2005년 한국지진공학회에 발표한 논문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서울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강남지역 대로변의 피해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 고층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