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 성과를 잘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라며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SW 중에 한국에서 개발한 것이 거의 없는데, 이 SW가 널리 사용되는 주인공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 교수와 김 교수는 DNA를 넘어 RNA와 단백질 등을 포함하는 생명 현상의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 관련 프로그램도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떻게 열차가 이렇게 빨라질 수 있었던 걸까?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도 초고속열차를 개발했다고?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 ... 공급하는 장치, 철도 신호, 안전 설비 등의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해요.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친구들이 더 빠른 열차를 탈 수 있게 노력할게요!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각까지 이어진 이 조각을 ‘판’이라고 해요. 10개의 큰 판과 작은 판들을 합쳐 약 20개의 판이 있답니다.판들은 한자리에 가만히 머물러 있지 않아요. 마치 물 위에 뜬 나무판자처럼, 맨틀 아래쪽의 움직임에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고 있어요. 어느 곳에서는 판이 생겨나는가 하면, 또 어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통해 기자단 친구들은 전기가 흐르는 원리, 중력, 기울기 등 과학에 대한 여러 가지 개념을 즐겁게 배울 수 있었답니다.더욱 즐거운 삶을 위하여~연구실에는 이 밖에도 빛으로 자세를 교정해 주는 스노우보드와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테이블 등 여러 가지 즐거운 과학 발명품들이 가득했어요. 기자단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규칙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발명의 방에 도착한 썰렁홈즈. 이 방은 오늘날의 사진기를 개발한 프랑스 화가 ‘다게르’의 방이었다. 방의 한쪽 벽에는 아름다운 꽃밭 사진의 일부가 떨어져서 바닥에 뒹굴고 있었다. 그때 ‘머라도 다맹그러’가 큰 소리로 말했다.“이런! 이 사진들이 뭔가 좀 ... ...
- [수학뉴스] 지네를 닮은 로봇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있는 절지동물입니다. 아오이교수 연구팀이 만든 지네 로봇도 단단한 상자 형태인 몸통 6개를 일자로 연결한 모습입니다. 몸통의좌우에는 모터 달린 다리를 총 12개 연결했습니다. 실제 지네는 오직 빠르게 움직일 때만 몸통이 꿈틀거립니다. 연구팀은 지네 로봇의 몸통을 연결하는 스프링의 성질에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동아리를 만들기로 결심한다.해킹 동아리로 gun007과 대결할 작정이었다. 하지만 동아리 개설을 위해서는 심사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어김없이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다. 본관 건물에서 힌트를 찾아 위 빈칸을 채워야 한다. 함께 동아리를 꾸리기로 한 란희, 파랑, 아름과 노을은 문제를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하거나 좋은 문구 등을 써서 만들면 크리스마스 트리 같은 느낌도 낼 수 있고 자신의 개성도 표현할 수 있다. 혼자 만들기에는 엄두가 나지 않지만 자르기, 접기, 붙이기 등으로 역할을 분담해 여러 명이 함께 하면 쉽고 빠르게 완성함으로써 협동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다. 특히, 한 학급뿐 아니라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피테쿠스 아파렌시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날레디 등 12개 종의 두개골을 분석했다. 두개골에는 대동맥으로부터 뻗어나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목 동맥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구멍의 크기를 재면 뇌로 흘러 들어간 혈액의 양을 알 수 있다.그 결과 인류는 진화 단계에 따라 지수함수 형태로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 성과를 빠르게 따라가는 추격형 연구나 급히 필요한 연구과제(감염성 질환 치료제 개발 등)에 적합한 지원 방식”이라며 “노벨상을 비롯한 선도형 연구 성과는 그랜트 형태의 지원을 받은 연구에서 나온다”고 말했다.연구자는 최대 5년 동안 그랜트를 받을 수 있고, 이후 평가를 거쳐 같은 ...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