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날씨도 1년 내내 큰 변화 없이 시원하고 건조한 편이다. 화성의 척박한 환경과 닮았다. 사람의 발길도 거의 닿지 않아, 화산 봉우리와 용암 대지뿐 아니라 용암동굴, 용암이 동굴을 뚫고 나오면서 생긴 구멍 등 실제 화성에서 볼 법한 지형이 많아 모의 탐사를 하기에 적합하다. 밖에 나갈 땐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형적인 ‘올빼미형’ 생활패턴을 갖고 있던 필자는 가장 많은 벌금을 내야 했다. ‘사람의 성실함이 아침형 인간과 올빼미형 인간의 생활패턴을 결정하는 것은 아닐 텐데, 혹시 내 올빼미형 생활 패턴은 부모님께 물려받은 것은 아닐까?’ 분자생물학 연구를 막 시작한 필자가 개인 차이를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호 편집장인 조영서 씨(컴퓨터학과 2학년)는 “1년 동안 열심히 활동했던 내용을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편집 방향을 잡았다”고 말했다. 발간에 필요한 자금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을 통해서 모금했다. 목표 금액은 인쇄에 필요한 최저비용인 55만 원으로 책정했다. 실제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찰스 다윈은 인간 사회의 치열해져 가는 생존경쟁에서 이기고 환경에 잘 적응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는 맬서스의 말에 영감을 받아 자연선택에 관한 진화이론을 완성했다. 뮐러 의태는 서로 다른 유해한 동물끼리 비슷한 특징을 지니는 것입니다. 같은 환경에서 같은 목적의 기관을 보유하도록 ...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봇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개념 로봇이 많이 생기고 있어요. 중요한건 이런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생각이 들었어요”라고 말했다. 이들은 다음으로 경복궁에 가서 수학을 찾아보며, 옛날 사람들은 무엇을 위해 이런 수학 원리를 이용했는지 알아 볼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학생에 의한, 학생을 위한 캠프7월 28일 오후 12시 30분, 대전 한밭고등학교 정문 앞에는 버스 한 대가 서 있었다. 여름방학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네가 하림이냐? 이쪽으로 와라.”하림은 시키는 대로 얌전히 구석에 가 앉았다. 그 사람도 맞은편에 앉았다. “이게 네가 가져온 거지?”고개를 들어 보니 메모리스틱이었다.“네.”하림은 순순히 답했다.‘마고는 어떻게 된 거지? 그러고 보니 엄마는 해킹한 뒤에 마고가 어떻게 되는지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레 연구원은 화분매개자의 ‘입맛’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밥과 국만 먹고 산 사람이 갑자기 진한 소스를 뿌린 스테이크를 먹으면 맛이 이상하게 느껴질 거예요. 화분매개자도 마찬가지예요. 화분매개자들은 그 나라 고유종 식물의 꿀이나 꽃가루에 익숙해져 있어요.그런데 최근 만들어진 ... ...
- [과학뉴스] 초음파로 길 찾는 박쥐, 빌딩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초음파를 이용해 길을 찾는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이 만든 빌딩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그 능력이 통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박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다. 스테판 그레이프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 연구원팀은 박쥐가 건물의 유리창처럼 매끈하고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에 특이한 SNP가 있는 경우, 8~15세 때 근시가 진행된 속도가 일반 사람들에 비해 빠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재밌는 건 평소 책을 잘 읽지 않는 어린이는 SNP에 상관없이 근시 진행 속도가 느렸고, 책을 많이 읽는 어린이의 경우 SNP에 따라서 근시 진행 속도가 최대 5배까지 ... ...
이전4884894904914924934944954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