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뉴스
"
안정하기
"(으)로 총 5,44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무음극배터리 수명·안전성 문제 해결할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은 입자를 주입한 맥신 복합체 소재 연구가 20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공개된 '물리화학 레터스' 표지에 실렸다. AC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인 무음극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하고 성능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충남대, 경북대 ... ...
이상목 생기원 원장 "수소경제 전주기 상용화 기술 개발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원장은 수소경제 비전으로 ‘수소와 제조산업의 GX(녹색전환)’를 제시하고 제조 및 인프라 역량을 집중해 수소에너지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원장은 27일 코엑스에서 열린 ‘ ... ...
전자 에너지 자유자재로 제어…양자컴 큐비트 성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KRISS 연구진이 무냉매 희석 냉동 장비를 이용해 소자의 온도를 극저온으로 냉각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단일전자의 에너지를 원하는 형태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외부 환경에 의한 전자의 불안정성을 줄이고 양자 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단일전자 큐비트의 ... ...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이동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맞춤의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왼쪽)과 구한 박사후연구원(제1저자). 생명연 제공.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의 주요 유발인자로 알려진 단백질 ‘KRAS'를 표적으로 한 항암제 개발은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KRAS 발현을 ... ...
기초연구 1880개 1차 신규과제 선정…3월 1일부터 과제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올해 기초연구사업 제1차 신규과제 1880개가 선정됐다. 총 4081억원이 투입되며 대학 회계 개시일인 3월 1일부터 지원이 시작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올해 기초연구사업 제1차 신규과제 1880개가 선정됐다. 총 4081억원이 투입되며 대학 회계 개시일인 3월 1일부터 과제를 진행한다. 과학기술정보 ... ...
빛과 소리 동시에 구현하는 차세대 신축성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배진우 한국기술교육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전자피부(e-skin), 스마트 의류, 소프트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진우 교수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유자재로 늘어나면서도 빛과 소리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 ...
“커피 한 잔 마시는 사이 완충“…초고속·고용량 배터리 음극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고속으로 충전되면서 고용량인 배터리 음극재를 개발한 연구 결과가 담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표지.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속으로 충전되면서 고용량인 배터리 음극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소재가 향후 전기차를 빠르게 충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 ...
나무·플라스틱 폐기물이 수소와 전기로 변신…플라즈마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설치된 플라즈마 폐기물 가스화 실험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플라즈마 폐기물 가스화 기술을 활용해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플라즈마 혁신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 ... ...
화성이 붉은 이유, 물이 있었기 때문…"물 함유 산화철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2007년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Rosetta)가 촬영한 화성. 극지방의 만년설이 돋보인다. ESA 제공 화성은 독특한 붉은 빛을 띠는 태양계 행성이다. 과거 로마인들은 화성의 붉은색이 피를 연상시킨다며 전쟁의 신 마르스(Mars)의 이름을 붙였다. 지금까지 화성 표면이 붉은 이유로 과거 화 ... ...
[과기원NOW] 이세돌 교수 "AI 도움 받되 자신만의 스타일 만들어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이세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특임교수가 24일 대강당에서 2025학년도 신입생을 위한 특강을 열고 있다.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4일 대강당에서 2025학년도 신입생을 위한 ‘이세돌 특임교수 특강’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전 프로 바둑기사이자 이세돌 UNIST 특임교수는 강연을 통해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