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라는 이름으로 다시 찾아왔다. 벌써 세 번째
돌연변이
의 등장이지만 백신 개발 연구는 원점부터 진행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떤 모습으로, 얼마나 자주 찾아올지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백신 개발의 ... ...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효율 예측할 인공지능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7.09
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프로그램을 적용해 표적 염기가 두 개 이상 있는 점
돌연변이
유전질환 중 4천274개의 유전질환은 편집 효율이 5% 이상으로 높고 추가적인 염기 변이가 일어날 가능성도 작다고 예측했다. 김형범 교수는 "선별한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를 활용해 질환 동물모델 연구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영화 《엑스맨》에 등장하는 매그니토는 말하자면 자기장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돌연변이
이다. 패러데이는 전기와 중력에 대해서도 전기력선과 중력선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적어도 개념적으로는 현대적인 장론(field theory)의 모태가 되는 발상이라 할 수 있다. 패러데이가 뛰어난 ... ...
이정호 교수, 뉴욕과학아카데미 과학혁신가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뇌
돌연변이
가 일으키는 난치성 뇌전증 발생원리를 밝혔다.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
가 암 부위가 아닌 암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선임 과학자상은 아드리안 크라이너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교수가 수상했다. 크라이너 교수는 DNA의 유전정보가 ... ...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연합뉴스
l
2020.07.08
줄기세포는 7일이 지나자 외양이 심근 세포처럼 보였고, 행동도 심장 세포처럼 했다.
돌연변이
가 생긴 줄기세포는 심근처럼 박동하지 않다가 PRC 2가 복원되자 다시 정상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했다. 줄기세포 분화 과정에서 RNA가 핵심 역할을 한다는 건 이런 과정을 거쳐 입증됐다. 유전적 ... ...
자외선 노출이 부른 트럭 운전기사의 '두 얼굴'
연합뉴스
l
2020.07.08
피부 탄력섬유의 파괴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A는 자외선B(UV-B)와 달리 DNA
돌연변이
와 직접적인 독성으로 피부암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다. 의료진은 이 환자에게 자외선 차단제 및 국소 레티노이드(비타민 A 유도체) 사용과 함께 피부암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상쇄하는
돌연변이
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돌연변이
는 큰 영향력이 없다는 게 중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할 때 인체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발생하는 변이가 현재 연구되고 있다. 이는 지난 2월 유럽에서 처음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경우
돌연변이
가 포함된 염색체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징후를 발견했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염색체가 유실되거나 섞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강은주 서울아산병원 연구조교수는 “배아 단계에서의 유전자 교정이 체세포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그간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과거를 일부 추적할 수 있게 됐다. 물론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를 일으켰을 확률이 높은 만큼 현존하는 바이러스로 과거의 퍼즐을 정확히 끼워 맞추는 건 여전히 쉽지 않지만 말이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가장 먼저 제기된 가설은 생물의 최소 단위인 세포에서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분야에서는 면역지질대사를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한 정연석 서울대 교수, 체세포
돌연변이
에 의한 인체 세포 이질성을 연구한 주영석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뉴로모픽 감각 시스템을 위한 입체 단일칩을 개발 중인 황철성 서울대 교수(맨 위 사진 왼쪽), 에너지 전달 현상을 연구한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