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백신 무용지물 만들 가능성 극히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무력화해 감염을 막는다. 프랜시스 발룬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대 교수는 “E484K
돌연변이
는 항체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따라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면역계를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런 최악의 시나리오가 펼쳐져도 백신은 4~6주 안에 변이 ... ...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최소 34개국서 확인...남아공발도 국내 포함 4개국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더 많이 배출된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1년 전과 비교해 현재까지 23개
돌연변이
가 발생했다. 23개 중 17개는 최근 등장했다. 전 세계적으로 83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며 바이러스가 변이할 기회를 더 많이 주고 있다. 영국과 남아공발 변이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주며 세포가 죽게 만든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해 'LSM12'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있음을 확인했다. LSM12 유전자는 RAN 단백질 농도 분포를 정상으로 돌려놓는 'EPAC1' 단백질을 만드는 데 관여한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의 줄기세포에서 신경세포를 만든 후 크리스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순차적으로 발현할 수 있게 조작한 생쥐를 만들었다. 그 결과 조로(早老) 현상을 보이는
돌연변이
생쥐의 노화가 늦어지고 수명이 길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늙은 정상 생쥐의 췌장과 근육에서 야마나카 인자가 순차적으로 발현하게 하자 기능이 향상됐다. 이 결과는 2016년 학술지 ‘셀’에 ... ...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전희정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선임연구원이 뽑혔다. 윤 교수는 치료제가 없던
돌연변이
폐암에서 아미반타맙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입증해냈다. 전 선임연구원은 치매의 원인이 중증 반응성 별세포에서 과량 만드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임을 밝혀냈다. 의약학 부문에서는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변이체의 정식 명칭은 VOC-202012/01이다.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23군데에서
돌연변이
가 발생했다. 이중 14군데는 염기서열이 바뀌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도 바뀐 경우고 6군데는 염기서열이 바뀌었지만 아미노산은 바뀌지 않은 변이다. 나머지 3군데는 염기서열이 삭제된 변이다. ... ...
암 원인 3차원으로 보는 암 게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암의 발병 원리를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돌연변이
는 유전자 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점
돌연변이
뿐 아니라 유전자 단백질의 구조가 변하는 변이도 관찰된다. 그러나 유전자 정보를 읽는 1차원적 게놈 서열 분석으로는 구조 변화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 ...
사이언스 "영국 코로나19 변이체 감염력 높은 이유는 4개
돌연변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경우고 나머지 3개는 아미노산이 삭제된 경우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23개
돌연변이
중 염기서열이 바뀌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도 바뀐 N501Y, P681H와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가 영국 변이체의 감염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N501Y는 코로나1 ... ...
남아공서 나타난 코로나19 변이체, 영국까지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변이체(VUI-202012/01)와 다르지만 두 변이체 모두 N501Y라는
돌연변이
를 갖고 있다. 이
돌연변이
는 코로나19가 세포에 침입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감염력이 더 강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부 기관과 전문가들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시절에 물리학 관련 논문도 썼으나 1933년에 이미 방사선에 의한 초파리의
돌연변이
연구진에도 참여했고 1935년에는 '유전자 변이 및 유전자 구조의 성질'이라는 주목할 만한 논문도 썼다. 막스 델브뤼크. 1969년에 바이러스의 복제 기작과 유전적 구조를 발견한 공로로 앨프리드 허시, 살바도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