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뉴스
"
공명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6
면담을 했습니다. 이어서 머릿속으로 간단한 뺄셈 문제를 풀게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
공명
영상)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했는데요. 그 결과 뇌에서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성화 됐습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기장으로 이 ... ...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10.05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습관이 형성된 쥐는 레버를 누르라는 뇌 신경 신호가, 누르지 말라는 신호보다 먼저 발생하면서 동일한 행동을 반복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뉴런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생체 분자 모습이 확인된 것이다. 1980년대 초, X선 결정법 (X-ray crystallography)과 핵자기
공명
(이하 NMR) 분광기의 개발로 과학자들은 고체 상태 및 용해 상태의 단백질을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생체분자의 구조 뿐만아니라 각 분자들이 어떻게 움직이며 서로 상호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됐다. 이로 ... ...
외국어 마스터의 비결, 새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있다. 운동과 관련이 깊다는 뜻이다. Q. 어떻게 뇌를 연구하나. 작은 새를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에 넣고? 너무 작아 fMRI는 불가능하다. 연구하고자 하는 뇌 부위에 직접 전극을 꽂아 신호를 측정한다. (직접 방문한 실험실에는 격리된 채 한창 실험중인 십자매와 금화조를 볼 수 있었다. 머리에 ... ...
[2017 이그노벨상 한국인 수상] 걸으면서 커피 마시면 넘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머리 부분을 감싸쥐고 걸으면
공명
진동수가 낮아진다”고 말했다. 걸을 때 발생하는
공명
진동수(4㎐)가 낮아져 머그컵 속 커피가 덜 움직이게 만든다는 것이다. 걸을 때 컵에서 커피가 넘치지 않도록 잡는 방법의 예 - AIR 제공 한편 2017 이그노벨상 해부학 부문은 ‘왜 나이가 들면 귀가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31
결과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원숭이들의 파킨슨병 증상이 점차 개선됐다. 연구진은 자기
공명
영상(MRI)과 양전자단층촬영(PET)을 통해 원숭이 뇌에 이식된 신경전구세포가 신경세포로 제대로 분화됨을 확인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전구세포가 뇌 속에 신경세포로 자리 잡은 후 도파민을 분비해 ... ...
발달 장애 비밀 풀 ‘인공 뇌’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하는지 여전히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뇌에서 일어나는 활동과 반응을 보려면 자기
공명
영상(MRI)처럼 간접적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한국인 과학자가 실험실에서 인공 뇌를 제작해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확인했다. 자폐증 등 뇌 발달 장애가 일어나는 과정을 파악하는 열쇠가 ... ...
부작용 없앤 MRI 조영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혈관 상황은 자기
공명
영상(MRI)으로 살핀다. 이 때 혈관이 더 잘 보이도록 ‘조영제’라는 약물을 투여한다. 조영제는 약물이 흐르는 혈관을 MRI에서 더 밝게 보이게 해 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약물이다. 국내 연구진이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조영제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 ... ...
주변 전자파 잡아내 전기로 바꿔 스마트폰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성능 개선이 우선 관심사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재료연구소(소장 김해두)는 나노금속의
공명
현상을 이용해 분자의 광 신호를 수백만 배 증폭시키는 분자검출 기판 소재를 개발했다. 미세먼지 측정이나 생화학무기 테러 예방, 마약 검사 등에 활용 가능하다. 수ppb(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 ...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그런데 이 가설이 증명되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 쿠시킨 교수는 “실시간 자기
공명
영상(MRI) 등 뇌를 관찰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했지만 아직도 부족하다”며 “향후 분자단위 이하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뇌의 데이터를 모아 분석해야 가설을 입증하고 기억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을 것”고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