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뉴스
"
공명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獸)페셜리스트] 10년 넘게 동물병원에 있던 수의사가 사료 제조에 뛰어든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수의사였다. 충남대 수의대를 졸업한 뒤 1998년 동물병원을 차렸다. 본래 전공은 자기
공명
영상(MRI). 2003년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동물 전용 MRI 기기를 도입했다. 그랬던 그가 사료 제조에 뛰어든 것은 아픈 동물에게 좋은 사료를 추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동물도 연령과 질병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18.03.06
기준으로 봤기 때문에 열두 살이 되면 뇌의 성장은 끝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자기
공명
영상(MRI) 같은 뇌의 내부를 볼 수 있는 장비가 나오면서 미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뇌과학자들은 청소년의 뇌발달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봤고 그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즉 신경세포(뉴런) 사이의 ... ...
5G의 킬러서비스는 무엇이 될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2.28
상황에서는 카카오톡 영상통화는 무쓸모다. 원격진료를 한다고 하자. 환자의 자기
공명
영상을 페이스톡으로 보고 원격의 의사가 진단할 수 있을까? 불가능하다. 훨씬 고화질의 영상이 필요한데, 현재의 이동통신망으로는 이런 고화질의 영상대화를 할 수 없다. NTT 도코모의 요시자와 가즈히로 ... ...
겨울올림픽 보며 반칙에 분노하는 당신… 원인은 ‘뇌’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빼앗아 올 수도 있다. 연구팀은 각각의 경우에 실험 참가자들의 뇌 활성을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실험에 이용된 컴퓨터 가상 게임. 코인을 훔친 사람에게는 처벌을 가할 수 있다. 자신의 코인을 들여서라도. 그 결과 실험참가자들은 욕심쟁이 A를 응징하기로 결정할 때 뇌의 ... ...
짜게 먹는 당신, 뇌 손상에 주의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6
및 식사)과, 이보다 8~16배 염분이 많이 함유된 고염식을 4~24주 각각 제공했다. 그 뒤 자기
공명
영상(MRI)으로 뇌영상을 촬영하고, 시간에 따른 뇌 속 혈류량과 혈액 속 혈구의 수를 측정해 비교했다. 연구팀이 실험한 쥐의 고염식 농도는 201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이 국제의학학술지 ... ...
사람이 본 장면, 인공지능이 그려준다…원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딥 이미지 리컨스트럭션(reconstruction·복원)’으로 불린다. 인공지능으로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에 나타난 뇌 활동을 분석하는 기술과 딥러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을 접목한 결과다. 원리는 이렇다. 연구진은 먼저 피험자 3명에게 사진이나 그림, 글자 등 장면을 보여 주고 ... ...
‘제약사 포기에도 후퇴 없다’ 치매 조기 진단 춘추전국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이 분야 국내 대표적 연구자인 이종민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는 “PET나 자기
공명
영상(MRI)과 딥러닝, 유전자 연구를 접목해 치매 고위험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를 통해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병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치매 원인과 종류 구분할 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등 아시아에서는 과거에 유독 혈관성 치매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다. 이는 자기
공명
영상(MRI) 등 뇌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정밀한 영상 장비를 많이 활용해 혈관 이상이 많이 발견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에는 혈관성 치매 비율이 떨어지고 서양과 비슷하게 알츠하이머병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나올 것 같이 생긴 이 장비는 손수 만든 3차원 자기장 제어기. 병원에서 볼 수 있는 자기
공명
영상(MRI) 장비처럼, 고리 모양의 장치에 전류가 흐르며 초당 200번 진동하는 자기장을 고리 안쪽 공간에 발생시킨다. 김 교수팀이 이 장비를 개발한 이유는 동물과 인간의 몸속에 침투시킬 목적으로 개발 중인 ... ...
인공지능으로 MRI 영상 촬영 속도 6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활용해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 영상 촬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기술이 나왔다. KAIST 전기및 전자공학부 박현욱 교수 연구팀은 머신러닝 기반 영상복원법으로 MRI 영상을 얻는 시간을 지금의 6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고 28일 밝혔다. MRI는 방사능을 쓰지 않고도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