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두 동전이 얽혀있기만 하면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동전 A를 지구에서 던지고, 동전 B를 화성에서 던지더라도요. 네, 거리와 공간에 상관없이요. 어디서 많이 본 조건 아닌가요. 바로앨리스와 밥 사이에 열린 순간이동 포털 네, 순간이동입니다. 서로 얽혀있는 두 양자는 아무리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조금 다른 모습일 수 있습니다. 꿈의 신소재 ‘언옵타늄’을 찾아서 위성 판도라가 지구의 정복 대상이 된 건 언옵타늄이라는 초전도체 자원 때문입니다. 판도라에는 공중에 둥둥 떠있는 천공의 섬이 등장하는데요. 영화에서는 언옵타늄의 매장량이 높아 섬이 떠다닐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상의 태양광 패널로 만들려면 6백만 개 이상이 필요하죠. 멋져요! 어떻게 에너지를 지구로 전송하나요?우주에서의 태양광 발전은 먼저 1.7km 길이의 태양광 발전용 패널을 실은 인공위성을 우주 궤도에 올려야 해요. 이 태양광 발전 위성으로 만든 전기를 전파의 일종인 마이크로파로 변환해서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줍깅! 태안 해수욕장을 산책하다가 바닷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를 보고 줍깅을 했어요.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여러분도 함께해요! 줍깅탐사한루아 기자주말 숲속에서 줍깅 숲길을 걸으며 등산로에 떨어진 쓰레기를 주웠어요. 산에 오를 때마다 줍깅을 실천할 거예요! 따분행! ... ...
- 스토리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생명들도 환경오염으로 더러워진 환경에서 살아남지 못했다.하지만 회색 빛깔로 물든 지구에는 아직 단 하나의 생명이 남아 있었다.바로 어린 왕자가 만난 그 여우의 친구.은여우.그 은여우는 살아남고 싶었다.끝까지 소원을 빌었다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학문인가는 두말하면 잔소리인 이유다. 그리고 이러한 관측 결과와 기술이 더 축적되면 지구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 레이저 물리와 비선형 광학 박사이며, 미라틀라스 공동설립자 겸 대표이사인 장-에두아 커뮤날 대표는 독자에게 이 말을 꼭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이고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생명체가 고등하다 혹은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있지만, 인구 자체가 두려움의 원인은 아니다”. 결국 ‘80억이 많은가?’, 혹은 ‘지구의 적정 인구는 어느 정도인가?’라는 질문은 우리가 앞으로 어떤 수준의 생활을 누리고 살 것인가에 달려있다. 우리가 사는 지역에서 앞으로 인구 변화로 어떤 미래가 올지를 생각하는 것이 훨씬 실천적인 ... ...
- [특집] 인류 최초의 별 목록표 우연한 발견과 복원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세차운동 : 팽이가 비틀거리며 회전하는 것처럼 회전하는 물체의 축이 틀어지는 일. 지구의 자전축도 이 운동으로 매년 조금씩 틀어진다. CCR에서 어떻게 숨겨진 내용을 찾았을까?●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 다양한 파장의 빛과 각도로 팔림프세스트를 비춰 빛이 얼마나 반사되고 투과되는지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것이죠.하지만 지상에서 별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구 대기의 영향, 장비의 한계, 모든 하늘을 둘러보기 어렵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1989년 8월 8일 ESA는 ‘히파르코스 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의 이름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