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d라이브러리
"
전지
"(으)로 총 1,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출력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금 여유를 둬 30W급의 태양
전지
를 선택했다. 또한 태양
전지
에 역전압이 걸리거나 배터리가 과방전 될 경우를 컨트롤러(solar controller)를 추가로 구했다.배터리는 1.4Ah면 충분한 용량이지만 집에 있는 18Ah 배터리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나노소재’를 개발했다.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 고분자는 바이오 센서나 액츄에이터, 태양
전지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전도성 고분자의 모양과 크기를 나노 수준에서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부족했다. 하지만 박 교수팀은 펩타이드 나노와이어로 전도성 고분자를 제어해 ... ...
세계 일주 나선 수소연료
전지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동차 회사 ‘벤츠’의 수소연료
전지
차가 1월 29일 세계 일주를 시작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수소연료
전지
차의 가능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현재 세계 총 200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늘리기 위한 캠페인의 의미도 담고 있다.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2월 3일 지구로 돌아왔단다. 우주왕복선처럼 로켓을 타고 우주로 올라간 다음, 태양
전지
판을 펴서 에너지를 얻지.그렇지 않습니다. 모두 똑같이 생긴 이전의 우주왕복선과 달리, 자신만의 장점을 가진 차세대 우주왕복선 모두가 각자 맡은 역할을 멋지게 해 줄 거라고 믿어요. 저는 마지막 비행을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위해 주기적으로 수술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MEMS 기술을 이용해 심박조율기를 만들면
전지
교체 없이 영구히 사용할 수 있어요. 머지않아 실용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이와 함께 MEMS를 감싸는 패키징 방법도 개발 중이다. MEMS 기술로 만든 센서는 작은 크기의 구조에 많은 기능이 모여 있다 ... ...
IBM’s Next 5 in 5 List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전지
가 만들어지면 더 작고 가벼운 충
전지
가 등장할 것이다. 이는 현재의 리튬이온
전지
보다 열 배는 오래 지속된다. 또 과학자들은 휴대전화같은 기기에 사용하는 전류의 양을 트랜지스터당 0.5볼트 이하로 줄이는 노력을 한다. 그렇게되면 팔의 운동 에너지로 재충전되는 손목시계처럼 에너지변환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에너지공학과, 대체에너지학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있어. 또 자동차공학과에 가서 연료
전지
를 연구하거나, 화학공학과에 가서 바이오디젤을 연구할 수도 있으니 어떤 길을 갈지는 네 선택에 달려 있어.”에너지 관련 학과는 카이스트, 울산과기대와 같은 과학중점대학에 기본적으로 배치돼 있으며,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종이접기를 활용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다. 로켓에 들어가지 않는 거대한 망원경과 태양
전지
판은 종이 접듯 접는다. 전류를 흘리면 배나 비행기로 저절로 접히는 종이를 개발해 트랜스포머 로봇을 꿈꾸기도 한다. 세상 곳곳에 숨어 있는 기발한 종이접기들의 활약을 보며 미래에는 어떤 꿈을 곱게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우와~,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게임기를 만들면 접을 수 있고 휘기도 하는 거야? 연료
전지
기술이 발전하면 지구 온난화도 나아지지 않을까? 화학이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어마어마하구나! 앞으로 첨단 화학이 바꿔 놓을 생활이 기대되는 걸? 어때?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화학이 하는 일을 보니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플로트킨 교수는 “노란줄무늬에 있는 ‘잔소프테린’이라는 색소가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처럼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꾼다”며 “보통 말벌은 이른 아침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지만 황말벌은 낮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