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마우나로아 화산암 속에서 발견한 감람석.]지각이 지구 내부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예상보다 짧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판구조론 ... 달리 아주 맨틀의 화학적 조성이 다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이 연구는
저널
‘네이처’ 8월 10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동정을(Sympathy for the CEO).” 지난 7월 15일자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한 논문 덕분에 요즘 CEO(최고경영자)들은 마음이 뿌듯할 것이다. 그동안은 조직의 가장 높은 자리에 올라있으니 얼마나 좋겠냐는 부러움의 대상이었을 뿐 막중한 임무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고 말해도 귀 기울여 듣는 사람은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조정에서 배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하는 수학적인 방법을 연구해 ‘미국 물리학
저널
’ 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조정에서 배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노를 저을 수 있는 수학적인 방법이 있다고 한다. 그림3처럼 노를 젓는 위치에 따라 배가 앞으로 나가도록 하는 힘은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시작하는 시점이다.양형식 전남대 자원공학과 교수팀은 1997년 ‘터널과 지하공간’
저널
에서 진동에 대한 인간의 반응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➊ 진동은 인간이 위험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하는 본능적인 감각 대상이다. 특히 사전에 경고가 없으면서 발생원을 파악하기 어려운 진동에 대해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7월 28일, 과학
저널
‘네이처’에 깜짝 놀랄 만한 소식이 실렸다. ‘시조새’가 새의 조상이 아니라 깃털 달린 ‘공룡’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였다. 시조새와 깃털공룡을 연구해 온 중국학술원 척추고생물 및 고인류학과 수싱 박사가 새로 발굴한 깃털공룡 화석을 조사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앞자리에 앉기를 꺼리는 건 당시 영국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다) 이때 바로 눈앞에서 과학
저널
‘네이처’에 실린 최신 논문의 의미를 설명하는 딕슨 교수의 강의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960년대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막 규명되기 시작하고 유전자의 작동 원리가 밝혀지던 ‘분자유전학’의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종의 원시도구라 부를 수는 있어도 본래적 의미의 도구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저널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이에 대해 브라운 박사는 “물고기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과 달리 도구를 다룰 수 있는 신체기관이 입 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영장류에게 적용하는 도구의 개념을 모든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크게 발달시켜 그 안에 비소를 격리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라) 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9일자에서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러 과학자들의 주장을 보도했다. 생물지구화학을 연구하는 로저 서몬스 매사추세스공대(MIT) 교수는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 ...
국회의원 만드는 1등 공신은 텔레비전?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난 7월 20일, 잉락 친나왓 후보가 태국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됐다. 그런데 당선 소식을 전하는 외신은 하나 같이 잉락 후보의 ‘수려한 외모’를 승인 중 하나로 언급했다. 투표 ... 건설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정치과학
저널
’ 7월호에 실렸다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밝혀졌다. 중국 과학학술원 동물학연구소의 둔우 키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를 ‘동물학
저널
’ 7월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구체적 개체수를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 쓰촨성 량샹 산 일대에서 그 지역 대왕판다의 90.5%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판다를 직접 관찰하고, 판다가 남긴 털과 배설물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