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모양의 3차원 나노구조물을 만들었다. 동료 연구원들과 함께 더 연구해 나노분야의
저널
인 ‘나노레터스’에 논문을 실었다.필자는 지금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에서 차세대 반도체 장비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한다. 대학원 때 하던 연구와 같은 분야는 아니다. 그러나 연구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제자리에서 공중에 떠 고도를 유지하는 수준이다. 이 연구 결과는 ‘응용물리학회
저널
(APL)’ 2011년 9월 13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배터리 대신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더 빨리 움직이는 양탄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호버크래프트를 해양경찰이 사용하고 있다. 어디든 ... ...
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싫은 말이 있으면, 방귀 뿡!미국 워싱턴시의 마라 시돌리 박사는 1996년 분자심리학
저널
에 지금까지 만난 환자 중 가장 지독하고 냄새나는 환자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녀는 정신과의사다. 하지만 지난 5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독한 방귀 냄새를 참아야만 했다. 환자가 불안감을 느낄 때마다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고 빛을 투과시키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제어할 수 있다.]베스트셀러 ‘다빈치코드’에서 주인공은 명화 ‘모나리자’의 유리보호벽 ... 영역의 빛을 99% 이상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협회
저널
‘나노레터스’에 실렸다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잠을 못 이루고 운명에 관해 인터넷을 뒤지던 소년의 눈에 1998년 ‘성격과 사회심리’
저널
에 실린 논문이 하나 눈에 띄었습니다.“못 참겠어. 우린 운명이 아닌가봐.”운명에 대한 믿음이 연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한 연구였습니다. 운명의 상대가 있다고 믿는 사람과 사랑은 키워 가야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교수팀은 거대한 메탄버블을 만난 선박은 침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탐험
저널
‘사이언티픽 엑스플러레이션’에 실었다. 메탄버블은 점점 수면으로 떠오르면서 팽창한다. 이 거대한 거품과 부딪친 선박은 부력을 잃고 빈 공간으로 떨어져 사라진다. 연구팀은 또 버블이 수면에서 터지면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당장 논문을 쓰라고 했다. 3월 논문을 완성해 저명한 학술지인 ‘응용물리학
저널
’에 투고했고 8월 논문이 받아들여졌다. 대학원 신입생이 이런 결과를 내자 화공과에서 화제가 됐다. 이 논문으로 그는 졸업할 때 화공과 최우수 석사논문상을 받았다.이론 연구에 탁월한 재능을 보인 그는 박사과정에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는 스위프트인공위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4년 발사했다. 지난 7년 동안 일급
저널
인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100여편의 논문을 냈을 정도로 스위프트의 업적이 대단했지만 후광(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초기 데이터를 관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스위프트는 감마선과 거의 동시에 ...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듀크대학교의 에릭 저비스 교수팀은 새의 뇌가 포유류의 뇌와 매우 비슷하다고 신경학
저널
‘네이처 리뷰스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주장했어요. 저비스 교수는 새대가리는 이제 칭찬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예요. 그는 새가 사람의 말을 흉내낼 뿐 아니라 수도 세고, 심지어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2011년 10월호 60쪽 ‘보현산천문대 망원경,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참조).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2011년 12월 1일자)’에 실린 감마선 분출 현상도 특이하다. 역시 스위프트 위성이 2010년 12월 25일, 즉 크리스마스 때 관측해 ‘크리스마스 감마선폭발’로 불린 GRB 101225A(A는 이날 관측된 첫 번째 GRB라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