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어떻게 쓰레기를 잡을 수 있는 걸까요?“청소 위성의 팔에는 게코 도마뱀의 발바닥을 응용한 테이프가 달려 있어요. 끈적이지 않는데도 물체가 ‘척’ 하고 붙지요. 그 비밀은 수만 개의 작은 털에 있어요. 각각의 털이 갖는 힘은 작지만, 수만 개의 털이 갖는 힘이 모이면 강력한 접착력이 생겨요.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기술을 만들 수 있겠다 생각했어요. 사실 영국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순수수학과 함께 응용수학을 가르쳤기 때문에 이런 생각이 그리 낯설지 않답니다.이윽고 1968년 제가 몸담고 있던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 ‘산업수학 스터디그룹’을 만들었어요. 기업과 수학자가 만나 교류할 수 있는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알고리즘은 최적해를 찾는다.바이올린을 좋아하는 진 하디스티는 미국 라이스대학교 응용수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던 2013년 최적의 바이올린 모양을 찾는 수학적 방법을 제시했다. 바이올린의 모양을 나타내는 복잡한 방정식을 쉽게 푸는 해법을 찾은 것이다. 이 해법은 악기 제작뿐만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위치와 운동량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그런데 이런 특성이 이용되는 의외의 응용분야가 있다. 우주 탄생에 관한 인플레이션 이론이나 블랙홀 증발의 원리인 호킹 복사 이론은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해 관측이 어려운 현상이다. 이를 확인하려면 매우 깨끗한 환경에서 오로지 원하는 효과만을 ... ...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C언어나 자바와 같은 언어로 만든 응용 프로그램들이다. 서 교수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응용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와 관련한 내용을 많이 가르친다”며 “아직까지 (서 교수의 연구처럼) 사람과 가까운 연구가 활발한 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서 교수도 석사 과정 때까지는 인공지능을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나노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실제 응용성에 큰 비중을 두고, 주변 환경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다녀도 충전이 저절로 될 것이다. 그는 또 “자연에서 일어나는 대전현상을 모방해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불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리해 원하는 정보만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외에도 응용 컴퓨터 분석과 데이터 압축, 의학 이미지, 디지털 영상, 허블망원경의 해상도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다. 2016년에 크게 화제가 됐던 중력파 검출도 중력파에 적합한 웨이블릿 함수를 만들어 관측했기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얼음과 함께 모래 위로 떠올랐고, 살짝 바람을 불자 움직일 수 있었죠.이후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로렌츠 박사는, 60개가 넘는 돌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부착한 뒤 이들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GPS 신호를 토대로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양수산부에 내년부터 6년 동안 ‘얼음화학 특성 연구를 통한 극지방 자연현상규명 및 응용기술 개발’ 연구를 할 것을 제안한 상태다. 극지방과 지구의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오염물질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최근에는 극지연, 한림대, UNIST, 체코 마사릭대 공동 연구팀이 ...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높고 사용자의 눈이 피로를 덜 느낀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 인간공학’ 4월호에 발표했다(doi:10.1016/j.apergo.2016.11.012).경규형 교수는 “일반 공학 분야는 특정 기술의 연구에만 집중하지만, 인간공학은 사람과 기계, 또는 환경의 관계에 주목한다”면서 “기존 제품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