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GIST) 고출력광섬유 레이저 혁신기술 개발 사업단은 2012년부터 스위스 베른대 응용물리연구소(IAP)와 함께 광섬유 레이저 연구를 하고 있다. 광섬유 레이저는 일반적인 레이저 발진의 원리를 광섬유라는 구조 안에서 구현하는 기술이다. 광섬유에서 빛이 흐르는 중심 부분에 에르븀(Er), 이터븀(Yb) 같은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다양하다. 무거운 짐을 싣고 달리는 트럭은 낮은 주파수의 소음을 내고, 같은 자동차라도 평소보다 빨리 달리면 더 ... 회절 현상을 일으키며 퍼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응용물리학저널’ 10월 17일자에 실렸다. doi:10.1063/1.499102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을 일부 차용했다”고 덧붙였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아직은 양자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지 않다”며 “가장 먼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점하는 기업이 소프트웨어의 생태계를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사건파일 1] 도미노 슈가 대 도미노 피자 도미노 피자와 도미노 슈가, 도미노라는 말이 똑같이 들어가 같은 회사 식품이라고 오해하기 쉽지요? 도미노 피자가 출시되자 오랜 전통을 자랑하던 도미노 슈가 역시 그런 생각을 하고 상표권 침해 소송을 걸었습니다. 도미노 슈가는 우리나라에선 정식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만들 수 있고, 프린터로 2차원 전개도를 출력한 뒤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포함한 국가 표준연구기관 10곳과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순수응용물리학연맹(IUPAP) 등 국제기구 10곳이 모여 토론을 펼쳤다. 그 결과, 단위를 새로 정의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기술이 성숙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측정한 플랑크 상수값이 아직 안정이 되지 않았고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집필자 중 한 명인 마쓰나가 미치타카 NHK 히로시마 방송국 보도 주임은 “게놈 편집을 응용할 때 우리가 생명이나 환경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 기술이 그려낼 세상을 향한 모험은 이미 시작됐으므로, 겸허한 자세로 새로운 가치관과 윤리관을 싹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활용하면 길이를 조절하면서 구부러진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팔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요. 연구를 이끈 크리스 유 연구원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로봇팔은 이동할 때는 작게 만들었다가 필요할 때는 길게 뽑아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의 근기능을 측정해 과학적으로 운동하도록 돕는 로봇을 개발할 겁니다. 이를 활용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인체의 신비를 밝히는 게 목표입니다.” 오세훈 대구경북과 ... “훗날 이를 활용해 더 자연스럽게 걷는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는 등 로봇공학에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읽고 확인한 사람이 없지요. 결국 검증도 컴퓨터의 도움을 받고 말았습니다. 4색 정리의 응용문제 역시 2016년 컴퓨터의 도움으로 해결했는데요, 최근 덴마크 수학자가 기발한 아이디어로 컴퓨터를 쓰지 않고 이 문제를 풀었습니다. 그러던 2016년 4월 스티븐 하케 미국 콜로라도 덴버대학교 교수와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