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장소에 따라 물리학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구의 물리학과 안드로메다 은하의 물리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물리 법칙은 우주 어디에서나 그리고 어느 때에나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물리학을 부정하는 것이다. 다른 물리상수들도 달라질 수 있다. 특히 α와 ... ...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태양)’을 출품한 김일순 씨에게 돌아갔다. 그에 버금가는 작품도 많았다. 안드로메다은하, 오리온대성운, 플레이아데스 성단처럼 인기 좋은 천체는 물론 창의적인 구도로 밤의 풍경과 하늘을 아름답게 담은 작품도 많았다. 심사를 맡은 정규성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은 “대상을 받은 작품은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거뒀다.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은 갈렉스로 과거 나이 든 별들만 있다고 생각했던 타원은하에서도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음을 밝혀냈다.행성 찾고 우주탄생의 비밀 밝히고 최근 뉴스에 많이 등장하는 우주망원경으로 케플러와 플랑크가 있다. 케플러의 목표는 지구와 닮은 외계행성을 찾는 ...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행성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나타냈다. 몇 개월 앞선 지난해 8월 은하계에서 다이아몬드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행성(PSR J 1719-1438)'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기 때문이다. 영국 맨체스터대 천문학자를 비롯해 독일, 미국, 호주 등 국제 연구팀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이 다이아몬드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신호를 모아 주는 포물선과 쌍곡선우리은하는 지름이 10만 광년이 넘기 때문에 우리은하의 끝에서 신호를 보낸다면 우리가 받는 데까지 수만 년이 걸린다. 그러니 이보다 더 먼 우주에서 오는 신호의 세기는 아주 작을 수밖에 없다.그래서 대부분의 전파망원경은 최대한 신호를 잘 모으기 위해 ...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궁금한 게 더 있어요. 별이 죽으면 정말로 전체가 다이아몬드로 변하나요. 우리 우주엔 은하가 몇 개인가요. 우리 우주 밖은 뭡니까. 우주 탄생 이전에 뭐가 있었나요.처음 질문 한두 개에 성의껏 대답을 해 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자기 연구 세계에 애착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화가 진행될수록 더 ...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셨어요. 음악도, 미술도 그리고 만화도요!가장 좋아하는 만화은하철도 999 (마쓰모토 레이지)명탐정 코난 (아오야마 고쇼) ‘명탐정 코난’을 즐겨 봐요. 범죄에 쓰이는 각종 트릭과 추리에는 과학 지식이 녹아있지요. 2009년에 개봉했던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는 ... ...
-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6개의 행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답니다.우리 은하인 은하수에는 태양처럼 빛을 내는 항성이 1000억 개가 넘어요. 1994년까지만 해도 행성이 있는 항성은 태양 외에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우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행성을 발견하고 있어요.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해석을 내놓았다. 즉 크리스마스 폭발은 지구에서 ‘불과’ 1만 광년 떨어진 우리은하 내부에서 일어난 현상이라는 것. 이 시나리오에서도 중성자별이 등장하는데, 소행성 같은 작은 천체가 중성자별의 중력에 잡혀 끌려오다 중력의 차이(조석력)로 천체가 일그러지며 파괴된다. 그 뒤 빠른 속도로 ...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질량이 크거나 별과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는 행성을 잘 찾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우리은하에서 태양과 비슷한 별의 17~30%가 행성을 갖는다.유럽남반구천문대(ESO)와 유럽, 호주 등지의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행성을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지구에서 볼 때 별 두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