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붕 위에 무겁고 투박한 태양광 발전기를 올리는 대신 투명한 창문으로 전기를 만드는 시대가 올까. 미국 에너지부의 브룩헤븐 국립연구소(BNL)와 로브 ... 수 있다. 폴리스티렌과 같은 전통적인 폴리머로 벌집 패턴의 박막을 만든 적은 있지만
반도체
와 풀러렌을 결합시킨 형태는 처음이다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린다. 그리고 ‘
반도체
오류 측정센서’와 ‘펨토초레이저발진기’를 탑재해
반도체
와 펨토초레이저가 우주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강 실장은 “이 탑재체를 통해 국산기술을 검증하고, 레이저고도계와 같은 부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위성에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당장 산업에도 응용할 수 있는 기술’로 나눈다. 플라스마 응용 기술은 지금도
반도체
와 디스플레이 등 산업 분야에 바로 쓰일 수 있다. 하지만 핵융합 기술은 앞으로 수십 년 뒤를 내다 봐야 하는 ‘미래를 위한’ 기술이다. 지난 10월 한국을 방문했던 모토지마 오사무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보면 ITER에 파견근무를 가기도 한다. 플라스마 응용 분야로 나가면 디스플레이 회사나
반도체
회사에서 플라스마를 이용한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는 2005년 아모레 퍼시픽 여성과학자상을 받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핵심 과학기술인
반도체
기술이 미래 산업을 주도할 것을 50년 전에 이미 간파한 선견지명이 놀라울 따름이다.그 외에도 모혜정 교수는 많은 학문적 저술활동을 펼쳤으며,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여성과학인재 양성을 위해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디지털 휴대전화(CDMA) 상업화 성공이 대표적인 사례다. 수입한 공정기술을 응용해
반도체
와 같은 새로운 생산품을 개발한 것도 그런 변형의 시대에 가능한 기법이다. 발전의 도약을 시작하면서 기초과학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것도 이 시기다. 과학동아도 천문학, 물리학 같은 기초과학에 대한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수상을 놓친 것은 두고두고 아쉬운 일이다. 김 교수는 그래핀을
반도체
에 이용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밝혔다.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은 아직 그래핀의 활용가능성을 전부 알지 못한다. 그 만큼 밝혀지지 않은 특성이 많다는 뜻이다. 이번 수상이 그래핀의 비밀에 한걸음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무해하며 폭발성도 없고 불에 타지도 않는다. 안정하기 때문에 냉장고, 에어컨의 냉매제,
반도체
세정제, 분무제 등으로 이용됐다. CFC는 대류권에서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래 머물러 있다가 성층권까지 올라간다. 성층권은 강한 자외선이 들어오는 곳이므로, 이곳에 도달한 CFC는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한국 출신의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수상자 명단에 없었다. 김 교수는 그래핀이
반도체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을 밝힌 연구 결과를 2005년 ‘네이처’에 게재해 그래핀 상용화 연구에 불을 붙인 인물이다. 그래핀 분야에서 김 교수의 연구는 가임 교수의 연구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평을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용량이 큰 저장 매체를 만들기에 유리하다. 최근에는 빛을 이용해 정보를 기록하는 광
반도체
집적회로 연구도 활발한데, 플라즈모닉스 기술을 응용하면 처리용량이 더 큰 회로를 만들 수 있다.“최근 연구하고 있는 ‘플라즈모닉 소용돌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면 빛을 약 1000배 강하게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