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효과는 장시간 외부의 자극이 차단된 상태에서 감각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뇌
에서 자체적으로 환상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에 완전히 매료된 터렐은 빛을 이용해 간츠펠트 효과를 느낄 수 있 는 작품을 만듭니다. 나아가 터렐은 표면에 반사돼 우리가 볼 수 있는 빛 그 이상을 보고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조절하는 후보 물질을 100개 이상 찾아내는 게 1차 목표”라며 “여기서 암이나 퇴행성
뇌
질환 등 단백질 관련 질병을 치료할 후보 물질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
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
신경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3022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
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생각을 한 사람들이 오래전부터 신경망(Neural Network)이라는 것을 연구했습니다. 인간의
뇌
속에 있는 수많은 뉴런과 시냅스가 반복적으로 연결돼 이뤄지는 신경의 구조를 컴퓨터의 코드로 구현한 신경망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학습하듯이 컴퓨터의 신경망 프로그램도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죠. 우리의
뇌
는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활성화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창의력과 밀접한 디폴트 네트워크는 일할 때보다 쉴 때 더 많은 에너지를 쓰며 움직입니다. 지금껏 받아들였던 정보를 정리하기 ... ...
[과학뉴스]
뇌
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유사하다. 그간 학계에서는 감마파의 역할을 놓고
뇌
의 리듬을 조절하는 시계인지,
뇌
활동의 부산물인지 의견이 갈렸다. 연구팀은 정밀한 기계를 이용해 설치류의 수염을 미세하게 움직이는 실험을 진행했다. 수염의 자극에 따라 뉴런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기록하고, 이후 뉴런의 신호를 하나씩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동일한 문장을 주고 살펴본 결과, 실험참가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단어가 나왔을 때
뇌
파가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10.1038/nn1504 이외에 음절의 길이나 띄어쓰기 여부도 단어를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최 교수는 “모든 언어 인식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는 것은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설득 효과가 시간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뇌
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출처에 대한 기억은 사라지고, 메시지의 내용만 선명해지는 탓이다. 음모론을 꾸준히 확산시키는 주범은 누굴까. 최근에는 구글이 운영하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가 범인으로 ... ...
3차원에도 황금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20개를 모아 두고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란은 색과 질감, 그리고 모양이 같을 때 우리의
뇌
는 정육면체 사이의 관계를 모서리 길이의 비에 따라 인식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먼저 크기 차이를 인식한 뒤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하는 과정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두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딥러닝을 토대로 작동하는 기술이에요. 딥러닝이란 인공지능(AI)의 일종으로, 사람의
뇌
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법입니다. 하는 일에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나요?적분 기호가 있는 사진을 예로 들어 볼게요. 컴퓨터가 이 수식을 해석하려면 먼저 기호가 무엇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