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의견은 다수가 모으지만 죄를 짓는 사람의 수를 줄이기 위해 판결과 집행을 하나의
개체
가 담당한다는 사실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회수라면…?”이번에는 윤환이 손가락을 들어 비니를 두드렸다.“시간이 흐르면 더욱 더 지구인에 가까운 사람들이 생길 거예요. 조직적으로 지구의 권력을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암컷이면서 영역 주변부로 나갈 수 있는 경우는 아직 한 번도 임신하지 않는 청소년
개체
뿐이다. 단 한 가지 예외가 바로 사랑의 도피다. 서열이 낮아 정자전쟁에 거의 참여할 수 없는 수컷이 대장 수컷의 눈을 피해 암컷을 유혹해 영역 주변부로 데리고 나가 교미를 하는 것이다.모든 세상이 그렇듯,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같은 뼈가 여러 개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의 시체가 섞인 경우 각
개체
를 구분하지 않고 다음 단계의 분석을 진행한다면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가 우리 몸에 있는 206개의 뼈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다. 머리뼈와 치아로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다양한 감각정보를 이용해 주변 환경을 경험하고 학습한 결과,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개체
마다 서로 다른 행동을 하는 현상이다. 꿀벌과 개미의 최적경로 찾기 행동이 바로 주관적 경험에 해당한다. 논점 1 길 찾기만 잘하는 거라면?그러나 꿀벌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고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경쟁력 약한 종이
개체
수만 줄어들 뿐 멸종되지는 않은 것이다. 그 이유는 식물의 적응력에 있었다. 다양하고 수시로 변하는 환경에서 식물은 새로 적응할 곳을 찾았고, 어느 지역에서 경쟁력이 약했던 식물이 다른 지역에서는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같은 유전자를 지닐 가능성이 99%보다 더 높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정리하자. 근연도는
개체
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제비 탐사를 이끌 정다미 소장은 “제비는 매우 친숙한 생물이지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어 관심이 필요한 종”이라고 제비 탐사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 이어 “대원들과 함께 제비의 서식지와 번식지, 산란 등에 대해 탐구해서 우리 주변에 더 많은 제비가 돌아오도록 할 ... ...
[과학뉴스]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한
개체
의 모든 세포는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모양과 역할은 다르다. 이런 운명을 결정짓는 원인 중 하나가 줄기세포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노화생물학연구소 후이 꾸앙 레 연구원팀은 줄기세포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세포구조와 유전자 발현이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해를 끼쳐서 줄어드는 복제본 개수(c)보다 많아야 이타적 행동은 선택된다. 두
개체
사이의 근연도(r)가 높을수록, 그리고 이타적 행동이 효율적이어서 손실 대비 이득(b/c)이 클수록 이 유전자는 선택되기 쉽다(구체적 사례는 왼쪽 박스 참조).야생 칠면조의 협력 구애해밀턴의 부등식이 성립해 혈연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인사2012년 6월 24일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비보가 전해졌다. 핀타섬육지거북의 마지막
개체
가 찰스다윈연구소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이름은 ‘외로운 조지(Lonesome George)’. 세상에서 가장 희귀한 파충류였던 이 거북은 하루아침에 ‘멸종된 종’이 됐다. 핀타섬육지거북은 몸무게가 100kg정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