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학술지 ‘셀’에 발표되기도 했다(doi:10.1016/j.cell.2016.05.008). 그러나 지카바이러스가
정확
히 어떤 세포를 언제 어떻게 공격해서 문제를 일으키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태아의 발생을 연구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으로도 연구가 어려웠다. 과학자들은 ‘오가노이드(organoid)’로 돌파구를 찾았다. ... ...
1900광년 떨어진 ‘늙은 별’서 전파 포착 성공
2016.05.31
“두 나라 관측 장비를 조합해 만든 ‘KaVA’를 통해 메이저 전파의 공간분포를
정확
하고 자세하게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며 “한일 공동 우주전파관측망의 성능을 세계적으로 입증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앞으로 한일 공동 연구진은 만기형 별 15~20개를 추가 선정하고 수 년에 걸쳐 관측해 ... ...
구글이 제시하는 미래의 웹…AMP와 PWA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5.31
‘바이라인 네트워크’의 대표.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 소모가 빠른 현대에도 독자에게
정확
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전달하는 것이 기자의 의무이자 자부심이라는 생각으로 글을 쓰고 있다 ... ...
‘치매 뇌 지도’ 2023년까지 완성한다
2016.05.31
했다. 뇌 지도가 만들어지면 특정 뇌 부위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뇌질환을
정확
하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게 된다. 2023년 완성될 뇌 지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뇌 신경망을 3차원(3D)으로 시각화하는 기술과 미니 뇌(오가노이드) 제작·활용 기술 등도 함께 개발한다. 미니 뇌는 사람의 ... ...
몸 속 단백질
정확
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다른 단백질의 위치를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교수는 “단백질의 분포를
정확
히 확인해 작동원리를 이해하면 약물 전달 물질 설계 등 신약 개발에 걸리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며 “세포생물학 연구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 ... ...
[책의 향기/독자서평]통계, ‘인간’이 담겨야 한다
동아일보
l
2016.05.28
주관적 관점을 줄이면서 데이터를 대하되 자신의 선택을 확신할 수 있는 용기다. 저자는
정확
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겸손함을 꼽는다. 욕망이 개입된 선택은 해답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처럼 이 책은 도덕을 강조하는데, 아무리 통계를 강조하더라도 진정한 학문은 인간을 위한 것이 ... ...
세상을 향한 삐뚤어진 적개심… 연인-이웃이 돌변했다
동아일보
l
2016.05.28
사람을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하거나 도망칠 생각도 하지 않는 범인들. 경찰은 그들의
정확
한 범죄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범죄행동분석관(프로파일러)을 투입한다. 경찰청이 펴낸 보고서 ‘한국의 이상 범죄 유형 및 특성’은 현직 프로파일러들이 머리를 맞댄 결과물이다. ‘이해할 수 없는 범죄를 ... ...
[토요판 커버스토리]악! 엽기 비웃는 異常범죄 시대
동아일보
l
2016.05.28
의미다. 줄이 고르지 않으면 이상한 소리가 나듯 이상 징후가 보이는 정신질환자를
정확
히 파악해 치료 기회를 제공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 경사도 “살인 같은 강력범죄를 저지르기 전에 사람을 주먹으로 공격하거나 주차된 차량을 파손해 입건되는 전조 증상이 있다”며 “미리 적절한 치료나 ... ...
내가 먹은 닭고기엔 항생제 얼마나 들었나
2016.05.27
항생제 두 종류를 사료에 섞어 먹이면서 사육한 닭을 가공한 뒤 잔류 항생제 함량을
정확
하게 측정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두 항생제의 함량이 각각 4.5%(엔로플록사신)와 3.49%(시프로폴록사신)의 오차 내에서 측정될 경우 검사법이 신뢰할 만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형 연구원은 “식탁에 오르는 ... ...
우주에서 펼쳐지는 갈릴레이 자유낙하 실험
2016.05.27
눈으로 관찰했다는 점에서 정밀도에 한계가 있는 만큼 인공위성을 이용해 역사상 가장
정확
한 자유낙하 실험에 도전한 것이다. 굳이 먼 우주에까지 가서 자유낙하 실험을 하는 이유는 이론적으로 등가원리가 양자역학과 상충하는 부분이 있다는 과학계의 지적 때문이다. 등가원리에 결점이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