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성능이에요.NASA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웹이 보지 못한 우주를 볼 수 있을 거예요. 나도 얼른 지상과 우주의 다양한 거대망원경을 만나고 싶은걸? 물론 빨라야 2018년부터 볼 수 있겠지만, 400년이나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마주친다. 낡은 집이 아닌 멋스러운 집으로 말이다. 통계를 보더라도 북촌 한옥마을을 시작으로 한옥의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한옥이 좋다고 전통한옥을 그대로 가져갈 순 없을 것이다. 수학의 눈으로 한옥만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미래 한옥이 취해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진단해 보자 ... ...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것으로 지진 을 예측할 수는 없지만 대비할 순 있다. 지진에 맞선 투쟁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한중공동연구진은 올해부터 백두산 시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지하 10km 마그마 방 주변부를 7km가량 뚫고 들어가서 백두산 천지의 지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예측 가능해도 피해 줄이기엔 역부족네팔 지진은 보기 드물게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고에너지 상태.광구 - 코어에서 만들어진 빛 알갱이가 드디어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눈에 보이는 최초의 지점이다.플레어 - 표면 섬광 현상. 태양 표면의 특정 지역이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이다.흑점 - 태양 광구에서 어두워 보이는 지점. 온도가 낮다. 하지만 이 지역이 온도가 낮은 것은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서버로 전송된다. 제대로 등록이 됐는지 확인해 보자. 다시 한 번 앱을 켜고 인증 시작을 알린다. 파이도 서버는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를 확인한다. '꾹'. 지문을 홈버튼에 찍으면 내 휴대전화에 저장돼 있는 비밀키 접근 권한이 주어진다. 이 과정을 통과하면 비밀키로 서명된 전자서명이 파이도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조선왕릉에 대 한 체계적인 조사를 하자는 목표로 2006년부터 종 합학술조사를 시작했습니다.올해 벌써 10년째에 접어들었지요. 그 사이에 조선 왕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고(2009 년), 40개의 왕릉 전체에 대한 정밀한 실측 자료와 역 사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이 아름다운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들어 90년대에는 처음으로 외부 저장장치에 대한 수요가 생겼다. 컴퓨터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90년대 중반에는 인터넷 보급률이 낮아서 네트워크로 정보를 주고받기가 어려웠다. 클라우드서버 같은 건 당연히 없었고,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 받는 것은 꿈도 못 꿀 일이었다. 그나마 이동식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최근 들어 연구자들은 사랑이 같은 이중언어 사용자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단일언어 사용자보단 상대적으로 문화의 영향을 배제하고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순수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중언어 사용자 연구는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힘을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연 세계 최초로 관찰된 액체 속 분자 결합의 순간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화학반응이 시작되기 전, 옹기종기 모인 세 개의 금 원자는 각각 3.3, 3.9Å(옹스트롬, 10-10m) 거리를 두고 있었다. 레이저를 쬐자 수백펨토초 이내에 금 원자 세 개가 일렬로 나란히 손을 잡아 선형 구조를 형성했고, 인접한 두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