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학술지‘사이언스’에 RBM이라는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듬을 발표하면서부터 관심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후 수많은 연구자가 보다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왔다. 특히, 드롭아웃이라는 방법이 적용되면서 고질적으로 문제가 됐던 과적응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드롭아웃은 각각의 숨겨진 계층에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획기적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0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카오의 광섬유 연구는 그 시작이 196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부터 영국의 표준원거리통신연구소에서 일하던 카오는 마이크로파와 빛의 전파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빛을 통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 ...
-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보다 노화가 느려진다는 설정이 자주 등장한다.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지 실험이 시작됐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예쁜꼬마선충의 우주 노화 실험을 지난 4월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 세포생물실험연구실(CBEF)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5월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2개월 동안 선충을 키우면서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대회 기간 내내 한번도 직접 개입하지 않고 임무를 완수시켰다.“재난로봇은 이제 시작… 상금 전액 연구비 쓰겠다”‘휴보 아빠’ 오준호 교수는 이번 대회 우승에 대해 “기술적인 진보를 한층 더 크게 이룰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지금의 로봇기술이 실제 재난구조 상황에 투입될 만큼 ...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멸종 위기에 놓일 만큼 줄어들었어요.하지만 쌀 생산량은 예상과 정반대로 줄어들기 시작했어요. 참새가 사라지면서 농사에 해를 끼치는 곤충이 급격하게 늘어났기 때문이에요. 곡물 생산량이 줄어든 결과,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배고픔에 굶주려야 했답니다.제비는 참새보다 농사에 기여하는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요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 예방대책을 세우는 학문이다. 그중에서도 이론역학은 질병이 시작되고 유행하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수식으로 정리한다. 질병역학에서 다루는 전염병 확산 모형은 전염병이 퍼지는 양상을 대략적으로 알려 준다. 그러면 전염병에 대응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의 주목을 받았다. 삶의 활력소가 된 캘리그래피김상미 선생님이 캘리그래피를 시작한 건 2011년이다. 경기도 우수교사로 뽑혀 서울대에서 1년 동안 수학 수업 관련 연구를 하고 논문지도를 받기로 했던 때다. 주변의 부러움을 샀지만, 막상 책과 논문에 파묻혀 지내다 보니 여유가 없었다. ‘이렇게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도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몇 초가 지나자, 소녀는 곧 반시계방향으로 돌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기자는 다른 사람에 비해 양쪽 뇌가 모두 발달한 걸까?빙글빙글 도는 소녀 외에도 세상에는 중의적인 그림이 많다. 심지어 움직이지 않는 그림인데도 두 가지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가장 잘 알려진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과정이다. 박실장은 “지난해 2월 대화형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불과 1년 만에 인식률이 65%에서 80%로 좋아졌다”고 말했다.올해에는 연구팀이 개발한 콜센터 녹취음성기가 소위 ‘대박’이 났다. 이미 1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을 8건 완료했다. 은행, 증권, 카드사 등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누구를 위한 생물학 무기 감시인가 탄저균이 생물학 무기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건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다. 당시 미국과 일본, 독일, 소련 등 강대국들은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경쟁적으로 탄저균을 개발했다. 하지만 탄저균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살아남아 여러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다.1 ... ...
이전4764774784794804814824834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