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4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12] 상설의류할인매장: 옷 가격은 왜 계속 내려갈까
2017.07.01
본 매장 안에 가장 많았다. 지갑을 여는 일에 신중한 소비자들도 알고 있는 것이다.
최초
에 옷이 만들어진 후 상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선택 받지 못해 반품을 거듭하며 이곳저곳을 전전하다가 흘러 들어온 상품 중 그나마 나은 것들은 마당 매장에 전시됐을 테고, 최하급으로 분류되어 이곳이 아니면 ... ...
미국 기업이 우주 개발에 뛰어드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30
기업이 어떤 부분을 얼마나 맡게 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올해 말 민간
최초
로 달에 착륙선 ‘MX-1’을 보내는 문익스프레스의 밥 리처즈 CEO는 “기업이 우주 개발에 뛰어드는 이유는 감수해야 할 위험 부담보다 얻을 수 있는 가치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달에서의 ... ...
이스라엘, 인도, 중국이 우주 강국된 비결
2017.06.30
중시했다. 가령 '증강우주발사체(ASLV)'와 PSLV 1단에 사용된 고체로켓 부스터는 인도
최초
의 발사체인 SLV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GSLV의 1단 고체엔진 역시 PSLV와 같은 모델을 사용했다. 또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과학로켓을 개발단계에서만 활용하지만, 인도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과학로켓 ... ...
불임-피임, 이제 남성의 몸도 연구한다
2017.06.30
남성용 피임약 개발도 한창 정자에 부작용이 없는 남성 피임약 연구도 활발하다. 세계
최초
남성 경구 피임약 후보는 인도네시아 아이를랑가대 생약 및 식물화학과 밤방 프라조고 교수가 개발한 ‘젠다루사’다. 쥐꼬리망초과에 속하는 식물 젠다루사를 활용했다. 이 약은 정자가 난자를 향해 ... ...
언어능력 결정짓는 유전적 요인, 뇌신경세포 밖에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8
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언어능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최초
로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많이 발현된 사람일수록 언어능력과 관련된 뇌 부위가 발달해 있고 말하기 능력(언어 유창성)과 기억력, 학습능력 등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수하다는 ... ...
손영숙 경희대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학술진흥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경희대 생명과학대학 교수(59·사진)에게 학술진흥상을 수여했다. 손 교수는 세계
최초
로 줄기세포의 자가 치유 기전을 규명해 줄기세포치료제 실용화를 위한 국내 의생명과학 분야 기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젊은 여성 과학자에게 주는 펠로십 수상자는 박현지 연세대 ... ...
[사이언스지식IN_Goobye 고리 ①] 고리원전의 임종 순간은 어땠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93도는 핵분열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저온 정지 상태’를 의미합니다. 1977년 6월 19일
최초
임계(핵반응)을 시작한 지 정확히 40년 만에 생을 마감한 것이죠. Q2. 앞으로 고리 원전은 어떤 과정을 거쳐 해체되나요? 전 세계적으로 수명이 끝나 가동을 멈춘 원전은 모두 149기. 이중 해체가 끝난 ... ...
[돈테크무비] ‘옥자’, 극장 시대 종말을 알리는 전령사?
2017.06.24
업계가 보이는 대응이 지나치다는 시각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최초
의 사이버펑크 TV시리즈라는 찬사를 받은 '컴퓨터 인간 맥스'를 커버스토리로 다룬 뉴스위크 표지 - 뉴스위크 제공 참고로 80년대 말 우리나라에서도 방영되었던 ‘컴퓨터 인간 맥스’(Max Headroom)라는 영국에서 ... ...
누에고치로 ‘시력 개선 필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누에고치 단백질을 가공해 빛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는 ‘나노광학소자’를 국내
최초
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특수염료를 단백질 수용액에 혼합한 뒤 빛반응을 이용해 얇은 막 형태로 굳혀냈다. 누에고치 단백질로 빛을 반사하는 필름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만든 단백질은 사람 피부처럼 ... ...
2차원 자석 마침내 개발…깜짝놀랄 새로운 전자소자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지난해 박제근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부단장(서울대 교수) 팀은 세계
최초
로 2차원 자성 물질을 구현해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테이프로 흑연 덩어리 표면의 원자층을 떼어내 그래핀을 만든 것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래핀 구조를 닮은 반강자성체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