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한 교수는 “실시간으로 혈당을 진단하는 콘텍트 렌즈를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며 “렌즈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당뇨 치료약물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7.26
9.15)은 지하 10~20km에서 발생했다.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연구팀이 그 원인을
최초
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 IODP에 참여한 송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수마트라 섭입대에서 천부지진을 유발하는 원인이 섭입 전 해저지층에 존재하는 ... ...
美 우주기업, 경쟁·혁신·자립으로 심(深)우주 탐사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4
구성된 미국의 벤처기업 문익스프레스는 최근 기술 검증에 성공해 미국 정부로부터 민간
최초
로 달 착륙 허가를 받았다. 밥 리처즈 문익스프레스 CEO는 “우리는 NASA의 R&D 사업 수주를 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문익스프레스는 정부 지원 없이 모두 민간 자본으로만 운영된다. 올해 말 ... ...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
2017.07.22
기업과 학교의 실력 차이는 엄청나게 벌어져 있다. KAIST 박사과정 때 나름 세계
최초
랍시고 반도체 패키징(packaging) 분야 최고 저널에 논문을 몇 편 썼다. 그런데 IBM에 들어가보니 거기서는 이미 오래 전에 다 연구해둔 것들이었다. 논문으로 안 썼을 뿐이지. 학계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논문은 제 ... ...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 5배까지 늘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수준을 넘어서는 성능이다. 분자 기계 원리가 고용량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최초
로 적용된 사례다. 최 교수는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해 기존의 기술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늦은 봄철 초미세먼지 54%는 국내, 34%는 중국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조사한 결과다(☞관련 기사: 한반도 미세먼지 측정하는 美 연구용 비행기, 본보
최초
탑승 동행기). KORUS-AQ 연구진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예비 종합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날 브리핑에는 한미 양측 주요 연구진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예비 종합보고서에서는 우선 ... ...
[文정부 100대 국정과제] 기초연구, 청년과학자 육성 본격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연구 단절 없이 연구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
최초
혁신 실험실’과 ‘생애 기본 연구비’도 신설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22.6%에 불과했던 이공계 대학 전임교원의 기초연구과제 수혜율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젊은 과학자 지원 방안도 본격 ... ...
중국의 우주 굴기, 국제 협력·상업화로 이어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있다. 중국은 올해 중 차세대 ‘베이더우 3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지난해 중국은 세계
최초
로 도청이나 감청이 불가능한 ‘양자(量子)통신 위성’ 발사에 성공한 바 있으며, 올해는 최장거리 양자 이동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세계 양자통신 시장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초기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7
퇴행성 뇌질환의 초기 신경병증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과 그 세부 기전을
최초
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는다. 세계적으로도 난치성 퇴행성 뇌질환을 겪는 환자 수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지만,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은 미흡한 상황이다. ... ...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 스탠퍼드대 제공
최초
이자 유일한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한지 3년 만에 40세 나이로 사망했다. 미국 스탠포드대는 15일(현지시각) 4년간 유방암으로 투병 중이던 수학과 교수 마리암 미르자카니가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