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온도의 변화없이 기압만 변해도 온도의 눈금이 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압이 변해도
정확
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4) ① 온도계를 사용하다 보면 온도계가 눈금의 중간에서 끊겨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런 상황을 맞지 않으려면 알코올에 기포 가 ... ...
3. 미사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그러나 원형(사정거리 2백80㎞)보다 사정거리가 확장된 이 개발형들은 그 반대급부로
정확
도가 떨어지고 탑재능력도 작아져 지난번 이란과의 전쟁에서도 테헤란을 향해 날던 스커드 미사일의 절반가량이 엉뚱한 곳에 떨어진 바 있다.이번 전쟁에 선보인 미사일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모은 것은 역시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산업 : 하이테크상품의 꽃재료가공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 비금속 세라믹 보석 유리 섬유 플라스틱 등 재료를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는 ... 주로 쓰인다.레이저칼(메스)로 외과수술을 하는 장면. 레이저는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정확
성을 발휘한다. 사용되는 레이저는 이산화탄소레이저 또는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시하는 전문 전시장이 생겨서 직접 가서 만져보고 기능이나 음질 등을 점검할 수 있어
정확
한 선택이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 피아노디지털 피아노는 피아노의 음색을 샘플링하여 그 음색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놓은 제품으로 칠 때마다 그 소리를 다시 재생해준다. 음색은 고정적이어서 ... ...
1. 전자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특징은 정교함에 있다. 가공할 파괴력을 더해가는 무기체계에
정확
성을 부여한 것이다.
정확
성은 목표물을 선별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도 있으나 전쟁이 지속되면 더욱 파괴적일 수 있다. 베트남 전쟁에서 부분적으로 적용된 전자전은 현재까지 수천수만번의 가상시나리오를 반복하면서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조각은 피에드라 델 솔(Piedra del Sol, 일명 Calendario Azteca 아스테카달력)이다. 이 달력은 그
정확
성이 요즈음의 월력(月曆)에 비해 손색이 없을 정도다. 당시 아스테카족은 이것을 달력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자신의 소원을 비는 비석으로 더 많이 활용했다. 실제로 이 달력은, 보통 인간과는 달리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해준다. 그들이 표현한 매듭숫자는 기푸(guipu)라고 불린다. 현대인이 볼때 놀랄 정도의
정확
성으로 그 시대의 인구통계자료, 세금제도, 노동자들의 급료, 수확물들의 통계자료를 나타내었다고 한다. 왜 상형문자와 같이 그 시대 보편적인 문자는 전래되지 않고 기푸만 전래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정확
한 지구의이면서 또한 최초로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진 세계지도를
정확
한 위도와 경도의 선이 그어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제도법은 매우 훌륭하다.1602년의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는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중국명 南懷仁)에 의해 개정돼 1674년에 목판으로 간행됐다. ... ...
「태양레인지」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에너지 사용비율이 낮고 못사는 나라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먹는 데'에 소모한다.
정확
한 통계는 나와있지 않지만 5%에서 50%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개발도상국이 집중돼 있는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방법의 하나로 태양열을 이용한 조리방법을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왓장 비석 등에 붙어 살기때문에 착생식물(着生植物)이라고도 부른다. 이 지의류는
정확
히 구분하면 조(藻)류와 균(菌)류의 공생식물이다.지의류는 고산이나 극지 사막 등 고등식물이 생존할 수 없는 극한상황에서도 끄덕없이 버티며 살아간다.지의류를 현미경으로 보면 두가지 식물의 공생체임이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