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과학동아 l1999년 01호
- 1901년 12월 12일, 이탈리아의 발명가 마르코니(1874-1937)는 대서양 횡단 무선전신에 성공했다. 영국 콘월주의 폴듀와 캐나다 뉴펀들랜드의 세인트존스까지는 3천5백70㎞. 당시 과학자들은 전파로 통신할 수 있는 거리가 1백60-3백20㎞일 거라고 주장했으나, 무선전신기를 발명해 처음으로 무선전신기회사 ...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과학동아 l1999년 01호
- 반도체는 컴퓨터 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신의 손'마이다스다. 또 산업을 움직이는 두뇌이기도 하다. 반도체는 크게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와 롬이나 렘과 같음 메모리 반도체로 나뉘는데, 우리나라는 메모리 분야에서 미국, 일본과 더불어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마치 중동 ...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공기나 산소와 접촉하면 쉬이 불이 붙는다. 수소-공기 혼합기체는 불꽃을 튀겨주면 조건에 따라 폭발적인 연소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폭발이 일어나는 농도범위가 커서(4-75%) 폭넓게 폭발을 일으킨다. 또한 불이 붙는 발화에너지가 작아 아주 미세한 정전기에도 ... ...
- 20세기 하늘을 연 라이트형제과학동아 l1999년 01호
- 1903년 12월 17일 오전 10시 35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키티호크 해안에서는 인류 최초의 비행기가 이륙했다. 자전거가게를 운영하던 36세의 윌버 라이트(1867-1912)와 32세의 오빌 라이트(1871-1948)가 만든 플라이어호가 12초 동안 36m를 나는 순간이었다. 이날 플라이어호는 59초 동안 2백90m를 나는 첫 기록을 ... ...
- 국제우주정거장 첫번째 조립작업 성공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축구장만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건설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20일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중 발전소 역할을 할 러시아의 자랴(러시아어로 ‘새벽’이란 뜻)가 처음 발사된데 이어, 12월 4일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를 타고 미국의 유니티(통일)가 지구궤도 위로 올라갔다.세계의 이목은 12 ... ...
- 성모 마리아가 토끼를 발로 밟는 이유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올해는 기묘년 토끼의 해다. 흔히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두고 토끼 같은 자식새끼라고 하듯이, 우리에게 토끼의 이미지는 대체로 귀엽고, 연약하고, 선하며, 재빠르고, 영특하다. 옛날에는 토끼를 지칭하는 말로 명시(明視)라고 했는데, 이는 눈이 밝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초식동물들은 대체 ...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과학동아 l1999년 01호
- 나와 같은 사람은 하나도 없다. 손 모양, 지문, 손등의 혈관 패턴, 눈동자의 망막, 홍채까지 모두 저마다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것이 한계에 이른 개인의 비밀번호를 대체하는 생체인식시스템의 출발점이다."앗! 왜 비밀번호가 틀리지?" "이 번호가 맞을텐데..." 김군은 오늘도 현금지급기 ...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웬만한 병충해에 끄떡 없는 콩, 오래 저장해도 무르지 않는 토마토. 유전자를 변형시켜 만든 양질의 농작물이 풍요로운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고 있다. 하지마 이들이 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팽팽하게 의견이 맞선다. 이에 시민들이 3개월에 걸쳐 20회의 전문가 ...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에 대해 어린이들은 '왜?'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다닌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입을 다물고 무감각한 표정을 짓는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한다. '과학은 너무 어려워!' 과학은 정말 어려운 것일까. 이에 대해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울 뿐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 ...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어렸을 때는 다 영재야." 이 말은 사실이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가능성을 최대로 실현시킬 수도 사장시킬 수도 있는 영재교육이 중요한 첫 발을 내딛고 있다. 영재교육진흥법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예정이다. 과연 이 법은 청소년들의 영재성이 뿌리내릴 수 있는 기반이 될 ... ...
이전4794804814824834844854864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