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번에는 바다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고 사냥하는지 동영상을 촬영할 거라나. 두 사람은 이 장치로 한 번에 무려 8시간이나 촬영할 수 있다고 자랑했어. 최근에 인간들 기술이 많이 발전하긴 했나봐. 그런데 고작 8시간으로 우리의 생활을 엿보겠다고? 어쨌든 최선을 다해야지 뭐. 감독이나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신을 해부하던 중 깜짝 놀라는 일이 있었습니다. 심장이 오른쪽에 간이 왼쪽에 있는 사람이 있었던 겁니다. 이렇게 장기들이 정상과 반대 위치에 있는 경우를 ‘좌우바뀜증(situs inversus)’이라고 합니다. 좌우바뀜증은 비정상 좌우 대칭의 가장 극단적인 사례지만, 생활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로부터 온 마지막 메일 내용이 인사치레가 아닌 진실을 담고 있다면. 어디에 사는 사람이든, 어떤 종이든, 동료 학자의 연구가 잘 되었다는 이러한 소식은 축하해줄 가치가 있는 법이다. 『우리는 우리 사이의 토론에 대한 귀하의 도움에 최선의 감사를 표합니다. 생물체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배 방법은 각자의 업무 시간이 비슷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바쁜데 다른 사람은 할 일이 없어서 쉬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말이다. 쉬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손님의 대기 시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순서도에 나타난 시간을 모두 더하면 20분이므로, 3명이서 공평하게 나눈다면 각자 일하는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주변에서 실력이 좋으니 선수로 나가보라고 해서 도전하게 됐죠. 다트를 가르쳐 준 사람이 있나요?던지는 방법부터 전략까지 혼자서 터득했어요. 다른 선수들이 저를 보면 왜 그렇게 던지냐고 물어보기도 합니다. 1+1이 2지만 0.5+1.5도 2인 것처럼 저만의 방식으로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그만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습하고, 풀과 나무가 무성해야 하며, 물을 마실 수 있는 호수도 있어야 하거든요. 고대의 사람들은 이처럼 비옥했던 초원에 살면서 아라비아만의 문화를 싹틔울 수 있었답니다.아라비아, 교역의 중심지였다!이번 전시에는 유독 사암으로 만들어진 석상이 많았어요. 선생님께서는 아라비아 지역에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나라엔 이 기술을 1953년에 우장춘 박사가 최초로 선보였지요.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돌연변이란 이유로 거부감을 갖기도 한답니다.이에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씨가 작은 품종을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마무리도 완벽했다. 아시모는 로봇이라는걸 아는데, 뇌는 자꾸 착각을 일으킨다. 저 안에 사람이 들어가서 조종하는 것 같다고. 실감이 주는 감동은 생각보다 크다. 실감은 각성제 역할도 한다. 포항 지진 발생을 알리는 긴급재난문자가 요란스럽게 울려대자마자 과학동아 편집부가 있는 서울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한국산업기술대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 ...
이전4794804814824834844854864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