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글루탐산은 괜찮고 MSG는 몸에 해로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합니다.그럼 이제부터 우리는 MSG를 마음껏 먹어도 되는 걸까요? 아무리 해롭지 않다고 해도 식품첨가물은 필요한 만큼만 쓰는 게 좋습니다. 더구나 MSG를 많이 쓰면 재료의 고유한 맛을 충분히 맛볼 수 없게 됩니다. 만일 “내 몸은 MSG와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아낸다면 테러를 막아낼 수 있을까. 프리드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메커니즘을 안다고 해서 이것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생명과학적으로 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환경과 ...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웃으면 복이 와요~바이오대상(보건복지부장관상) 일반부김미정(기초과학연구원) 투과전자현미경돼지가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절로 복이 들어올 것 같다. 막걸리를 한 잔 걸친 듯 얼굴도 불그스레하다. 주위에는 반짝반짝 별도 떠 있어 돼지가 초롱초롱한 눈으로 밤하늘의 은하수를 바라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감축목표의 50%를 일단 소비에서 줄이고, 그 다음에 재생에너지, 저탄소 기술을 통해 감축할예정”이라고 말했다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신, 20만 개의 확산광을 계산하는 거죠. 계산 시간은 수만 배이상 단축되고, 다행히 우리 눈은 이것을 전혀 구분하지 못합니다. 아직은 1차 버전인데, 차차 눈 알갱이를 뭉친 눈사람, 수증기 입자가 모인 구름, 설탕으로 지은 집으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할 때 우리 뇌는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집중하는 전략을 취한다. 미국 뉴욕대 의대 마이클 할라사 교수는 뇌의 어느 부분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조절하는지 알아냈다. 할라사 교수는 먼저 정상 쥐가 여러 가지 자극 중 어떤 자극을 선택하고 어떤 자극에 집중하는지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바퀴 돌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왔다면, 처음과 나중의 파동함수는 당연히 같아야 한다. 우리가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다고 다른 사람이 될 수는 없듯이, 같은 위치에서 구한 파동함수가 서로 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의 파동함수는 복소수로 이뤄진 함수이므로, 한 바퀴 빙 돈 파동함수가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게다가 돌고래는 ‘너무’ 귀여워요. 돌고래의 귀여운 모습에 매료되어 우리는 돌고래를 우리의 주위에 묶어 두려고 해요. 삼팔이와 춘삼이, 제돌이는 바로 그 결과물이었지요.삼팔이는 무척 호기심이 많았고 놀기를 좋아했어요. 해조류를 지느러미에 걸고 돌아다니다가 나중에는 입으로 물고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더 복잡한 제스처가 필요하다. 이때 기기는 제스처를 2차원이 아닌 3차원으로 분석한다. 우리가 xyz좌표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인지하는 셈이다. 아이폰6S에서 화면을 살짝 또는 세게 누를 때 기능이 달라지는 비결도 3차원 좌표로 터치를 구별하기 때문이다.수학으로 만드는 좋은 제스처일상에서 ... ...
이전4784794804814824834844854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