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노력하는 모습을 보며 끈기의 중요성을 깨닫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을 요약한
그림
으로 왼쪽은 어른이 상자에서 장난감을 꺼낼 때 30초가 걸리는 ‘노력 조건’과 10초가 안 걸리는 ‘노력 없는 조건’두 가지가 있다. 다음은 고리에 매인 장난감을 푸는 과제로 역시 두 가지 조건이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중간 크기 조각(M)에는 캡슐 표면의 당단백질 두 종(Gc와 Gn)의 유전자가 있다. 작은 조각(S,
그림
오른쪽에 보이는 작은 고리로 M은 오타다)에는 핵단백질(NP)과 비구조단백질(NS)의 유전자가 있다. - Biomedical reports 제공 SFTS바이러스의 유전자는 불과 다섯 개로 이 가운데 전염성에 관련된 건 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색소를 못 만들어 흰 꽃이 필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실 흰 나팔꽃은 1631년 그려진
그림
속에서 처음 등장했다. 즉 일본에 나팔꽃이 소개된지 대략 850년 뒤에 변종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게놈 분석을 통해 DFR-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효소가 작동을 못하면서 흰 나팔꽃이 나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읽으면 가슴이 뭉클하다. 격변변광성이 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그림
이다. 근접쌍성계에서 적색거성 같은 동반성(왼쪽)에서 백색왜성(가운데 네모 안)으로 물질이 유입될 경우 별 표면 온도가 올라가 수소융합반응이 일어나면서 껍질이 폭발한다. 오른쪽은 백색왜성 부분을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
2017.08.20
관계, 네트워크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했다. 참가자들에게 서로 겹쳐져 있는 세 개의 원
그림
을 주고 중요한 순서대로 가장 중요한 것들을 가장 안 쪽 원에, 그 다음 중요한 것은 그 다음 원,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들은 가장 바깥쪽 원에 적도록 했다. 환자들이 마음을 다스리는데 중요하다고 답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관장하는 부분이다. 운동피질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신체부위를 따라 사람을 그린
그림
을 본 적이 있을 텐데 얼굴과 손이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섬세한 근육조절이 필요한 부위라서 많은 뉴런이 할당돼 있다는 말이다. 1차 운동피질의 뉴런은 중뇌와 연수를 거쳐 척수까지 이어지는데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사람의 경우 좀 더 복잡하겠지만 기본 틀은 유지될 거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를 도식화한
그림
을 실었다. 습도감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밝혀진 게 적다. 곤충의 경우 특화된 습도수용체가 알려졌지만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는 이런 습도수용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기계수용체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천연가스화력발전소(와) 기존 천연가스복합화력발전소(아래)의 작동 원리를 비교한
그림
이다. 신개념 발전소에는 공기에서 산소를 정제하는 장치(왼쪽)가 추가된 반면 가스터빈과 보일러(굴뚝), 냉각탑이 없다. 그리고 이산화탄소터빈은 증기터빈에 비해 10분의 1 크기다. 또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일반 제1형 초신성(위)와 SN1991bg 유형 초신성(아래)의 동위원소 붕괴 과정을 비교한
그림
이다. 일반 제1형 초신성의 경우 니켈56이 금방 붕괴돼 양전자(빨간색)가 폭발 반경 내부의 전자(파란색)와 만나 소멸된다. 반면 SN1991bg 유형 초신성의 경우 티타늄44가 천천히 붕괴되므로 양전자 대다수가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있으실 겁니다. 단백질이나 생체 조직의 구조를 X-선 결정학 방식으로 나타낼 때 쓰이는
그림
이니까요. 네, 이번 표지는 세포막 같은 생체막에 있는 지질막(=인지질 이중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전에도 한 번 말씀드린 바(☞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가 있지만 ‘표지로 읽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