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그림"(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성공했다(아래). 오른쪽은 인독실과 그 배당체인 인디칸의 전환 반응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각각 당전이효소(UGT)와 배당체가수분해효소(BGL)가 반응을 촉매한다. - ‘네이처 화학생물학’ 제공 이렇게 얻은 인디칸 용액을 흰 데님 천에 뿌려준 뒤 배당체가수분해효소 용액에 담그고 나서 말리자 천이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프랑켄슈타인을 온전히 구현할 수 있을까? 2018년형 현대적 프랑켄슈타인을 상상해 본 그림이 1월 둘째 주 학술지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오늘날 SF 소설의 선구가 된 괴기소설 프랑켄슈타인이 나온 건 1818년이다. 인간과 똑같은 능력을 갖춘 기괴한 형상의 거대 인조 인간의 이야기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가운데 수사자와 마주하고 있다(생식기가 잘 묘사돼 있어 성별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림에는 나오지 않지만 사자 뒤에도 개 다섯 마리가 더 있다. 이건 정말 사자 사냥 장면일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실제 장면을 묘사한 것일 수도 있고 사냥꾼의 용맹함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적인 장면일수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게 바로 고유망각이다. 초파리의 뇌에서 고유망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파민뉴런 가운데 한 종류가 망각세포로 특정 냄새의 기억이 저장된 버섯체뉴런(엔그램세포)과 시냅스로 연결돼 있다. 망각세포가 시냅스로 도파민을 분비하면 엔그램세포에서 Rac1이 발현되면서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SCIENCE 제공 이번 사이언스지 표지는 그림이다. 한 여성이 차를 타고 햇빛 가득한 도로를 달리고 있다. 여성은 조수석에서 여유롭게 커피를 마시고 있고, 운전석엔 아무도 없다. 여성은 자율주행자동차를 타고 달리는 중이다. 표지 제목에는 ‘우리는 언제 그곳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열렸다. 염기 6가지로 이뤄진 DNA이중나선(왼쪽)과 mRNA(오른쪽)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 사이언스 제공 물론 이렇게 많은 코돈까지는 필요도 없겠지만 아무튼 새로운 코돈에 맞는 안티코돈을 갖고 있는 운반RNA를 만들고, 여기에 기존 20개 정규 아미노산이 아닌 비정규 아미노산을 붙이면 결국 ... ...
- 플라나리아 무한 재생의 비밀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03
- 작품 같은 이미지가 실렸다. 1872년 그린 ‘인상, 해돋이’의 한 구석을 확대한 듯한 그림이지만 사실은 플라나리아의 근육 세포다. 편형동물의 하나인 플라나리아의 신체가 재생되는 과정을 밝힌 피터 레디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교수팀의 연구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이러스 면역 반응동아사이언스 l2017.11.27
-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회색 무리를 알록달록한 무리가 관통하고 있는 그림이 실렸다. 그림에서 회색 무리는 소포체 막이며, 색이 있는 무리는 펩타이드 부하 복합체(peptide-loading complex, PLC)라는 단백질 복합체다. 이들은 세포의 면역반응과 관련된 구조로 특히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다고 ... ...
- 금속이 연성을 잃는 한계는 어디일까동아사이언스 l2017.10.29
- 선은 나름대로 격자를 만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그러진 부분도 있고요. 이 그림의 주인공은 원자번호 73번인 탄탈룸입니다. 탄탈룸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하는 방식을 선으로 표현했습니다. 금속 화합물이 각종 산과 잘 반응하는데 비해 탄탈룸 화합물은 산에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2017.10.24
-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슘137이 바다로 유출된 경로와 추정량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이에 따르면 사고 초기 낙진으로 떨어진 게 15PBq(페타베크렐), 직접 유출이 5PBq에 이르렀다. 반면 지하수나 강을 통한 유출은 각각 연간 15~20TBq(테라베크렐), 10~12TBq로 양이 훨씬 적지만 대신 지금도 여전히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