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짠맛 증폭시키는 숟가락 등장…저염 식습관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Na+)을 혀 근처로 끌어당긴다. 혀의 미각 세포를 자극해 짠맛을 강하게 느끼도록 하는
원리
다. 짠맛은 실제보다 약 1.5배 강해진다. 라면이나 된장국 같은 경우 이전보다 소금을 약 3분의 1 적게 넣더라도 짠맛은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숟가락 손잡이 부분에는 배터리가 들어가며 전류 세기는 ... ...
빛의 파동을 '색채'로 인식하는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어떻게 인식하냐는 질문은 간단해 보이지만 답하기 어렵다"며 "색 인식의 신경 회로
원리
를 밝힌 우리의 새로운 발견이 소리, 맛 등 모든 종류의 지각을 뇌가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
도마뱀이 꼬리 자르듯 붕괴 시작점만 무너뜨려 건물 전체 붕괴 막는다
2024.05.16
분야의 일반적인 관행을 뒤집는 연구"라며 "분명 교량과 같은 다른 구조물에도 동일한
원리
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2026년까지 UPV 콘크리트 과학기술 연구소에서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계층 기반 붕괴 격리' 기술이 앞으로 생명을 구하고 구조 ... ...
배터리 없이도 빛나는 ‘소프트 미케노발광 복합체’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에너지 공급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소프트 미케노발광 복합체의
원리
를 밝히기 위해 형광체에 대해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형광체 외부에 비정질 산화알루미늄이 코팅된 경우 강한 미케노발광이 나타나는 것을 관측했다. 이 산화알루미늄이 유연한 투명 실리콘 고무와 ... ...
MRI 문턱 낮아진다...싸고 성능은 그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구성하는 수소의 양성자(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가 자기장의 영향에 따라 재배열되는
원리
를 사용한다. 자기장을 쏘다가 끊었을 때 양성자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측정해 인체의 특정 부위를 3차원(3D) 영상으로 만든다. 기존 MRI 촬영장치의 운영 비용이 높은 까닭은 ... ...
100kg 이하 초소형 군집위성 쓰임새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시스템을 의미한다. 마치 전투기가 편대비행을 하며 작전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
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위성 1기당 무게가 100kg 이하인 초소형 위성 여럿이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초소형 군집위성의 가장 큰 장점은 비용이다. 중대형위성보다 개발 기간도 짧고 개발 비용도 싸다. ... ...
딥페이크 등 생성형AI에 목줄 거는 AI
과학동아
l
2024.05.11
무너뜨리는 겁니다. 생성형AI를 독살하는 프로그램이 나이트셰이드가 처음은 아닙니다.
원리
도 무척 간단해요. 생성형AI가 이미지와 텍스트를 묶어 학습한다는 사실을 역이용하는 식입니다. (arxiv/2310.13828) 조유진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로맨티메크 시리즈 중 하나. AI를 암살하는 프로그램 ... ...
게임 중독도 뇌 질환…전자약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신경세포 특성을 활용해 뇌 내부의 신경회로까지 영향을 주는
원리
로 뇌 기능을 조절한다. 이번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을 통해 전기적 자극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정해진 방법과 일정에 따라 하루 30분 2주간 자가치료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치료군은 ... ...
"두꺼비가 내뿜는 독, 우울감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일부 사람들의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가 그동안 이뤄졌지만 어떤
원리
로 가능한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5-HT1A와 두꺼비에서 추출한 화합물이 만났을 때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행복호르몬'이라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인 ... ...
"장내 미생물 분비 물질이 장 건강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연구팀과 함께 장내 미생물에서 유래한 신규 단백질이 장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
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항상성은 생물이 최적 조건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최소화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리킨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중 하나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