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을 만드는 세포공장 연구에 뛰어들었다. 우드-융달 경로는 독립영양 메커니즘이므로
원리
적으로 가능하지만 상용화에 성공하려면 효율이 높은 미생물을 찾고 대사 경로를 조정해 최적화하는(합성생물학) 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023년 오스트리아 보쿠대 환경생명공학연구소(IFA-Tulln)와 미국 ... ...
'물리학 109년 난제' 풀었다…미시세계 변화, 거시세계에 전달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더 하스 효과'다. 측정 기술의 한계로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리
는 100년 넘게 밝혀지지 않았다. 2022년 독일 콘스탄츠대 연구팀이 고체에서 스핀이 고체가 이룬 격자의 집단적인 움직임을 입자처럼 표현한 '포논(phonon)'에 각운동량을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때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때는 공전 속도가 느리지만 태양에 근접해서는 매우 빠르게 돌아나가는 것과 유사한
원리
다. 그는 또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는 별의 궤도와 속도를 알아내면 블랙홀의 중력과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중간질량 블랙홀은 주로 중력파 관측을 통해 존재가 입증됐다. 중력파는 ... ...
과학자가 나서니…생리혈을 젤로 바꾸는 '생리대'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파우더 형태의 흡수체가 들어 있다. 흡수체가 월경혈을 흡수해 생리대 안에 가두는
원리
가 적용된다. 문제는 흡수체가 흡수할 수 있는 생리혈 양을 넘어서는 경우다. 흡수체가 생리혈을 전부 흡수하지 못하면 생리혈이 새는 불상사를 겪는 경우가 있다. 연구팀은 '알긴산염'과 '글리세롤'을 합쳐 ... ...
손상된 근육에 뿌리면 지혈·회복…'가루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유지할 수 있는 젤 개발이 필요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분말형 수화젤이 작동하는
원리
. GIST 제공 연구팀은 생체에 적합한 천연고분자인 산화 덱스트란과 젤라틴을 혼합하고 크기 30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의 입자로 분쇄했다. 분말은 손상된 근육 조직 표면의 혈액·체액을 흡수해 5분 ... ...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핵융합실험로는 일명 ‘인공 태양’이라 불린다. 수소 원자를 융합시켜 에너지를 얻는
원리
가 마치 태양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에너지 생성 방식은 이론적으로 청정 에너지를 무한정 얻을 수 있다. ITER 가동이 지연된 원인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팬데믹으로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ITU 통해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과학교실과 과학캠프’를 운영한다. 과학교실에서는 과학의 기초와 생활 속 과학
원리
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한 시간이 마련되고 과학캠프에서는 ‘AI와 함께하는 생명과학 여행’을 주제로 초등학교 4~6학년 대상 1박2일 과정을 운영한다. KAIST 멘토와 함께 생물의 진화와 생존 방식, DNA ... ...
누리호 타고 우주로 간 韓 자체 개발 원자력전지 장기간 '이상 無'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자체 개발했다. 원자력전지가 열과 전력을 생산하는
원리
. 원자력연 제공 연구팀은 2022년 11월부터 5월까지 원자력전지가 우주에서 출력을 잘 유지하는지 확인했다. 원자력전지의 출력전압과 내부 온도 데이터를 위성이 저장했다가 지상과 교신할 때 전송하는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변형이 생기면서 펄사의 주기가 미세하게 바뀌는 순간을 포착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원리
다.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펄사를 이용하면 nHz(나노헤르츠) 단위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면서 "과학자들이 지난 20년 동안 펄사 관측 데이터를 쌓고 있고 앞으로 이를 분석해 10년 내에 우주에 ... ...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박남규 "연구비 적게 깎였다고 '축하한다' 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소자에 활용하기 좋은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은 알지만 왜 그런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
는 규명되지 않았다. 박 교수는 이를 규명해 새로운 물질을 디자인하고 싶다고 했다. 현재 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중이다.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