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과학동아 l2010년 02호
- 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즉 ‘머리는 차게 발은 따듯하게 한다’는 조상들 이 생각한 건강의 원리가 담겨 있다. 정수리 부분이 뚫린 모자는 사람이 가장 추위를 많이 느끼는 볼과 이마, 목을 따뜻하게 가리면서 머리 위쪽으로 솟아 오르는 열은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남바위 와 풍차 를 보면 이런 특성이 ...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수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쉽다. 합성수는 영어로 composite number라고 하는데 1을 제외한 다른 정수들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다. composite는 라틴어 compositus(콤포지투스)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compositus에서 com은 ‘함께’를 뜻하고 posite는 ‘놓다’를 뜻한다. 수 체계에 대한 영어 단어와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필즈상을 안겨 준 ‘그린-타오 정리’는 정수론 분야의 뛰어난 업적입니다. 그것도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에게 끊임없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소수에 대한 이론이지요.간단히 설명하면 ‘그린-타오 정리’는 소수로만 이루어진 등차수열을 찾고, 그 수열이 얼마나 길게 이어질지를 설명한 ...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곤 한다. 왜냐하면 이어폰에서 나오는 소리가 정수리나 귀 부근에 맺혀 자연스러운 울림과 잔향을 느끼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먼컴퓨팅연구실에서는 ‘머리전달함수’를 통해, 음이 귀에 바로 들리는 것이 아니라 귀에서 멀리 떨어진, ... ...
- “소외층, 제3세계 구하는 제품 개발해요”과학동아 l2009년 12호
- 개발해 은상을 수상했다. 윤선경 씨는 수상자 명단엔 오르지 못했지만 UF여과막으로 물을 정수하는 필터를 개발해 대회에 참가했다.이들이 경진대회에 참가한 이유는 제각각이었다. 김대현 씨는 평소 소외된 지역의 복지와 의료 문제에 관심이 많았지만, 정미진 씨는 단순히 ‘소외된 90%를 위한 ...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과학동아 l2009년 12호
- 63), c=20(2064에서 앞부분 20)을 사용한다. 가우스 기호 [ ] 는 괄호 안 수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63/4] =[15.75]=15 다.2064년 1월 29일을 대입하면 100이 나오는데, 7로 나누면 2가 남는다. 나머지가 1이면 월요일, 나머지가 2이면 화요일로 해석하기 때문에 2064년 1월 29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모양 변화로 한 달을 정하니 불편한 점도 생겼습니다. 우선 달의 모양이 변하는 주기가 정수로 딱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달이 그믐달에서 초승달을 거쳐 보름달이 되었다가 다시 그믐달이 되는 데는 29.5일이 걸립니다. 0.5일이라는 날은 없으므로 한 달은 29일과 30일이 번갈아 나오는 식으로 ...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수학동아 l2009년 12호
- 계산해 보았다는 점만은 대단하다.수학자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만일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한다면 무한히 많은 소수를 포함하는 소수 수열을 알아 낼 수 있게 되기 ...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안 된다. 물 100mL 속에 500마리가 넘는 대장균이 있는 물에서는 물놀이를 하면 안 된다. 정수장에서는 물 100mL속에 대장균 3000마리라는 기준을 만족시킨 물만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다.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하는 대장균보다 눈에 바로 보이는 생물로 수질을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깊은 산 계곡에서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