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언어를 몇 개나 배우나요?” 기자의 질문에 류석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8개 정도”라고 대답했다. 첫 해에 Python(파이썬), 두 번째 해엔 Java(자바)와 C를, 이후 Rust(러스트), Scala(스칼라), OCaml(오캐믈) 등을 배운다. 영어영문학과에서는 영어만, 중어중문학과에서는 중국어만 배우는 것과 비교하면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1998년, 미국의 학술지인 ‘관절염과 류머티즘’에 “왼손 관절을 적어도 3만 6500번 정도 꺾는 동안 오른손 관절은 거의 꺾지 않았다”며, “그러나 두 손 모두에 관절염이 오지 않았고, 특별한 차이도 없었다”고 밝혔다. 반세기에 걸친 실험으로 관절 꺾기와 관절염에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 것이다 ... ...
- [숫자로 보는 뉴스] 원뿔, 모자, 호리병, 클로버~ 재료는 DNA?!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12.7nm(나노미터)★를 넘지 않았지요. 도형 4개가 모여야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와 비슷할 정도로 작은 크기예요. 연구에 참여한 존 레이프 교수는 “만약 프로그램에게 버섯 모양을 만들어달라고 하면, 프로그램이 스스로 DNA를 한 가닥씩 분해한 뒤 다시 이어 붙여서 원하는 모양을 마법처럼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활용해 예술 작품을 만드는 뉴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AI로 예술 작업을 한 지는 8년 정도 됐어요. 직장 생활과 작가 일을 병행하려다 보니까 시간이 없어서 AI로 작업을 시작했고, 남들보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빨리 접하게 됐어요. 생성형 AI의 실력이 얼마나 되는지, 이 AI와 계속 작업할 수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을까요? 4월 24일, 이화여대 식품나노공학연구실에 들어서자 전자레인지를 세 대 정도 쌓은 크기의 3차원(3D) 프린터가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프린터 노즐에서는 노란 재료가 뽑혀 나오고 있었습니다. 달콤한 냄새가 나는 건 아니었지만 얼핏 쿠키 반죽처럼 보였습니다. 노란 재료는 한 층 한 층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세포는 꽤 유연해서 자신의 본업(?)이 아니어도 자신을 필요로 하는 역할이 있다면 어느 정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필자는 앞으로도 계속 생명과학을 연구하고 싶지만, 세상에 저희 가족만 남게 된다면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집을 짓고 밭을 갈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만든 집이 목수나 ... ...
- [출동, 슈퍼M] 색종이는 왜 정사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일반 색종이에 비해 2배가 되었는데, 왜 넓이는 4배라고 할까요? 어떤 도형의 넓은 정도를 ‘넓이’라고 해요. 정사각형의 넓이는 (가로)×(세로)로 구하지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1cm²(제곱센티미터)★이지만, 가로와 세로가 각각 2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2×2=4cm²이지요.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50년 고안한 것으로, 기계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면 인간과 동등하거나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지능을 가졌다는 의미예요. 덕분에 챗GPT 플러스는 복잡한 질문에도 척척 답변할 수 있지요. Q.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챗GPT에서 수학 검색 엔진인 울프럼 알파와 같은 기능을 쓸 수 있다는데,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사용 주의법을 만들어 교육한다면 든든한 조력자로서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요. 그 정도의 단점은 감수해야 해요. 전민성 네, 그리고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으면 너무나 많은 정보가 뜨잖아요? 신뢰할 수 없는 것, 신뢰할 수 있는 것이 막 뒤섞여 있어요.그래도 그나마 챗GPT 답변은 그런 것들을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방법은 비행기를 타고 높이 올라가서 비행기를 강하시키는 것이다. 이런 방법은 약 30초 정도 미세중력을 만들 수 있으며, 우주비행사의 체험 훈련에 쓰인다. 더 긴 시간 동안 미세중력을 만들려면 반중력 기술을 개발하지 않는 한 결국 우주로 가는 것이 답이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