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알려져 있어요. 정말 이말이 사실일까요?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립
대학
교의 스테이시 하머 교수 연구팀이 해바라기에 대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어린 해바라기들만 낮과 밤에 따라 움직인다는 게 밝혀졌지요. 반면 다 자라 꽃이 핀 해바라기는 항상 동쪽을 향해 있었어요.꽃이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게 사실이야?하드로사우루스 : 그건 영국 맨체스터
대학
교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
대학
교 공동 연구팀이 밝혀냈어요. 하드로사우루스 화석의 관절에서 관절염을 앓았던 흔적을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몸의 단층 사진을 찍을 수 있는 CT기계로 뼈 화석을 자세히 들여다봤어요. 그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때문에 이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없었어요. 반면 서울
대학
교 서승우 교수팀이 제작한 자율주행 자동차인 ‘스누버’에는 자동차 사방에 센서들이 달려 있어요. 기존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바닥만 보고 걷는 수준이라면, 스누버는 지도를 들고 고개를 들어 주변을 ... ...
Part 5. 자동차, 자연으로 돌아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나무로 만든 자동차!스웨덴 왕립공과
대학
교 린든버그 교수팀은 최근 ‘탄소섬유’를 이용해 자동차의 지붕을 만드는 연구를 성공시켰답니다. 탄소섬유는 강철에 비해 5분의 1 정도로 가볍고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재료지요. 이 탄소섬유의 재료는 나무에서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그래서 이 로봇을 ‘점프하는 바퀴벌레(jump roach)’라고 불러요.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생물학과 로버트 폴 교수 연구팀도 바퀴벌레를 본뜬 로봇 ‘크램(CRAM)’을 지난 2월에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바퀴벌레가 자기 무게의 900배에 달하는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점과 높이 3mm, 폭 4mm의 좁은 공간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높았다”고 발표했답니다.대체 왜 지구 전체가 불덩이로 변했을까요? 미국 조지아공과
대학
의 이매뉴얼 로렌조 교수팀은 지난해 겨울에 생긴 ‘엘니뇨’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밝혔어요.엘니뇨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바닷물 온도가 *평년 온도보다 0.4℃ 이상 높아지는 현상이 에요. 그런데 지난해 ... ...
Part 3.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영상으로 올라오기 시작하자 사체가 발견되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영국 세인트 앤드류
대학
교 이안 보이드 교수팀은 상괭이처럼 초음파를 사용하는 ‘부리고래’가 인공음파를 듣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과, 군사 훈련에 사용하는 초음파를 쏜 경우 고래들이 이상행동을 보이는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정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요.그런데 최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
대학
교 샌더 오뜨 박사팀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보다 용량이 수천 배나 큰 저장 장치 기술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이는 우표 한 장 크기의 작은 칩에 지금까지 나온 모든 책을 다 담을 수 있는 거대한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있어서 몸속에서 활동하기에 한계가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서던메소디스트
대학
교 김민준 교수팀이 작은 자석을 이용해 길이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름이 4.3*μm인 작은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