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마이크로 로봇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 바로 의료 분야란다. 몸에 쏙 들어가는 로봇을 이용하면 수술 없이 병을 치료할 수 있거든. 게다가 치료가 필요한 부분만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어서 부작용도 크게 줄일 수 있지. 먼저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부터 소개해 줄게~!소화 기관 구석구석을 보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기계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기도 했지요.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교의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는 지난 1999년, 탄소와 수소 원자로 분자 모터를 만들었어요. 이 분자들은 자외선을 받으면 빙글빙글 돌게 된답니다. 분자를 한 방향으로만 돌아가게 만들었다는 점이 가장 큰 ...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프로그램일 ‘스크래치’가 대표적이에요.스크래치는 2006년,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미디어융합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예요. ‘스크래치(Scratch)’는 DJ가 레코드판을 돌리는 동작을 의미해요. DJ가 스크래치하며 음악을 섞듯이, 주어진 프로젝트들을 섞으며 쉽게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참가했다가 장이권 이화여대 교수님과 연이 닿아, 서울대와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어요.특히 그는 멸종위기종 1급인 수원청개구리 연구로 유명해요. 2014년에는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원청개구리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위기’ 등급으로 직접 신청해 등록하기도 ... ...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생물과 컴퓨터, 언뜻 별로 상관이 없어 보이죠? 하지만 사실 생물학, 특히 유전학 쪽은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랍니다.21세기에 들어 생물의 유전자 연구는 ‘게놈 해독’에 집중하고 있어요. 게놈은 한 생물의 몸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를 말해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레고로 하는 로봇 코딩 교육“그렇게 하면 컬러센서가 작동하기 어려워! 서보모터 파워를 좀 더 올리는 게 어때?”“각도는 맞는데, 내려치는 힘이 부족해. 타이어 두 개를 달아 볼까?”지난 4개월 동안 경기 지역 300여 명의 학생들은 SK하이닉스의 지원으로 로봇 교육을 받았어요. 레고 로봇은 세계 ... ...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안녕, 난 세계 최고의 도둑 ‘괴도 키드’라고 해. 세상에 내가 못 훔칠 물건은 하나도 없지. 왜냐하면 난 누구도 갖지 못한 만능열쇠를 갖고 있거든. 이 만능열쇠만 있다면 세상에 열지못하는 문은 하나도 없다고 우하하~!그런데 최근 도둑들 사이에 요상한 소문이 퍼지고 있어. 박물관에 내 만능열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아무리 봐도 지문 인식기가 없네. 그럼 지문으로 여는 건 아닌가 보군. 앗? 저기 저건 카메라? 아, 그래! 최근에 카메라가 홍채를 인식하자 스마트폰 잠금이 해제되는 모습을 광고에서 본적이 있어. 그렇다면 홍채가 열쇠?양쪽 눈도 서로 다른 홍채의 근육 모양!우리 눈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큰 원 안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보물 상자가 있다는 박물관에 왔어. 보물 상자를 발견하자마자 만능열쇠를 써 보려 했지만 열쇠를 넣을 구멍조차 없네? 이곳저곳을 둘러 봐도 상자를 열 수 있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흠…, 역시 소문대로 만만치 않군. 어? 그런데 상자 바닥에 이상한 글이 써 있네?‘보물 상자의 열쇠는 몸에 있다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그리고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있지요. 반상우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그동안 걸음걸이는 질병이 있거나 걸음걸이가 아주 독특할 때만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