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자궁세포와 귀세포가 이용됐다. 이 외에도 황교수가 복제 수정란을 착상해 임신에
성공
한 20여마리의 복제소들 가운데 수컷은 없다.현재 수컷이 복제가 되는지 여부는 논란중이다. 최근 일본에서 수컷 세포를 이용해 수정란단계까지 진행시켰지만, 어미의 자궁에 착상하는 일이 실패했다고 한다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서부를 지키는 룬슈테트 사령관과 베를린사령부와의 교신을 청취해 그 암호를 푸는데
성공
했다. 그리고 6월 6일(‘D데이’라는 말은 여기서 나옴) 2차대전을 연합국의 승리로 이끌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감행했다. 그러나 콜로서스의 존재는 1970년대 후반까지 비밀이 누설되지 않아 전혀 알려지지 ... ...
② 단 하나의 정자로도 수정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됐다. 세계 최초의 ICSI 아기는 1992년 벨기에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에서는 1994년 처음으로
성공
했다.ICSI의 등장으로 이론적으로는 단 하나의 정자만 있어도 아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정자의 수가 적거나 운동성이 떨어져 ‘불합격’ 판정을 받은 남성도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심지어 정상적인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정소 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고, 여기에 미성숙한 생식세포를 넣고 키웠다. 이 가운데
성공
적으로 성숙한 생식세포를 골라 난자와 수정시킨 것이다.그렇다면 왜 사람의 정소 세포가 아닌 쥐의 세포를 사용했을까. 안티노리 박사는 “만일 정상적인 다른 사람의 정소 세포에서 배양했다면 여기서 ... ...
⑥ 첨단 대리모 인공자궁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일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생쥐 수정란을 10일 정도 생존시킨 인공자궁 시스템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 생쥐의 임신 기간이 20일 내외인 것을 볼 때 적어도 생쥐의 경우 인공자궁의 실현이 멀지 않은 느낌이다.또다른 연구는 실험실에서 자궁세포층을 만들어 수정란이 이곳에 착상할 때 어떤 현상이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청색 반도체 레이저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성공
할 경우 15GB 이상의 광디스크 시스템도 가능할 것이다.자기기록 매체인 하드디스크와 마찬가지로 광디스크 분야에 있어서도 수십 GB 용량의 매체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가령 특수하게 제작된 광학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한 계속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야 하므로 전망이 밝다는 것이다.2번의 발사, 2번의
성공
. 그리고 우리별 3호. 이번에 우리별 3호를 발사하는 연구원들은 이게 늘 불안하다. 즉 과거에 실패의 노하우를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 실패하면 어떨까 두려운 것이다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사용되고 있다.현대 건축음향학은 발전을 거듭해 건축음향설계에 적용되고 있으나 항상
성공
한 것만은 아니다. 1962년 베라넥의 이론에 따라 설계된 뉴욕 링컨센터의 뉴욕 필하모닉 홀은 개관과 동시에 문을 닫아야 했다. 그 이유는 콘서트홀의 음향이 너무 나빠서 교향악단이 이곳에서 연주하는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렇게 하는 것이 현실에서 가능할까. 김현수 박사에 따르면, 선진국에서는 이미
성공
적인 사례들도 적지 않다고 한다. 특히 세계적으로 1980년대 이후 생태마을, 소규모 주거단지, 학교 공공건물 등에 생태적 개념을 적용하고 실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독일이다. 밍케가 실현한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되지 않는 경우’라고 정의한다. 부부가 모두 정상이면 임신은 보통 1년 이내에 80-90%
성공
한다. 이 정의에 따른다면 불임 부부의 수는 ‘10쌍 중 1쌍’을 웃돌 것이다.불임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그 원인이 남성에게 있느냐 여성에게 있느냐를 따진다면 ‘둘다 거의 같은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