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조합에 비해 훨씬 복잡했다. 더구나 N1은 4번의 발사에서 모두 폭발했다. 만약 N1로켓이
성공
적으로 발사됐더라면 ‘레닌’이란 애칭을 붙일 예정이었다.우주선 - 아폴로 대 소유즈 LOK미국의 아폴로우주선은 사령선과 기계선으로 이뤄져 있다. 사령선은 3명의 우주비행사가 거주하는 생활공간이자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레일과 막대한 전류(1백60만 암페어)를 이용해서 초속 6km로 분사되는 레일건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그러나 레일건은 현재 기술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 우선 열로 소모되는 에너지 손실이 너무 크고, 레일건의 반발력이 너무 세서 총 자체의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하기 힘들다. 또 강력한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전무하다 해도 사람의 전멸은 곧 바이러스의 멸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구상에
성공
적으로 살아남은 바이러스는 사람과의 전쟁을 현명하게 아끼며 유지하고, 사람이라는 집단이 적절한 숫자로 유지되도록 ‘절충식 적대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는 곧 바이러스와의 전쟁은 사람이 존재하는 한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수소폭탄을 6천5백km 떨어진 곳까지 나를 수 있는 SS6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데
성공
했다. 9월 두 번째 시험발사는 당 제1서기였던 니키타 흐루시초프(1894-1971)가 지켜보는 가운데 이뤄졌다. 평소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싶어했던 코롤료프에게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당시 미국은 ... ...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코드화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시험 전송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영상을
성공
적으로 전달했다. 이는 단파인 라디오파의 성질로 볼 때 훨씬 더 먼 곳으로도 영상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시스템은 이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병원간 엑스레이 사진을 교환할 수 있고 전자책을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의학분야에서 다각도로 활용이 모색된다. 키를리안 사진으로 암을 진단하는 실험이
성공
을 거둔 적이 있으며, 일부 연구진들은 키를리안 사진술을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의학영상기술과 결합하는 의료진단 시스템의 개발을 꿈꾼다. 러시아인들은 키를리안 사진기로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쿠르차토프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그리고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1949년 8월 29일 핵실험에
성공
했다.미국은 2차대전의 주범인 독일이 핵폭탄을 개발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게다가 히틀러와 나치스는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완전히 패색이 짙었으며, 미국이 핵폭탄을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르바리에는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언한 공로를 공동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성공
을 계기로 르바리에는 수성 궤도의 이동 문제에 집중했고, 불칸이라는 수성 안쪽 행성을 제안했다.해왕성 발견 직후 르바리에는 알려지지 않은 행성이 더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리고 나서 10월 10일 해왕성의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맞추어 아프리카와 브라질에 원정대를 파견해 개기일식 중에 태양 근처의 별을 찍는데
성공
했다. 관측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예측대로 별의 위치가 달라졌음이 밝혀졌다. 이로써 태양의 중력은 공간을 휘게 만들고 별빛 역시 휜 공간을 따라 이동한다는 것이 증명됐다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한 계속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야 하므로 전망이 밝다는 것이다.2번의 발사, 2번의
성공
. 그리고 우리별 3호. 이번에 우리별 3호를 발사하는 연구원들은 이게 늘 불안하다. 즉 과거에 실패의 노하우를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 실패하면 어떨까 두려운 것이다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