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여러 가지 새가 색깔별로 운동 변환을 해요. 예를 들어 하얀 새는 커다란 알을 떨어뜨린 뒤 다시 작은 포물선 운동을 시작하고, 노란 새는 특정 지점으로부터 도착지까지 빠르게 직선으로 내리꽂히지요.이런 운동도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나하나 계산하지 않아도 어느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놓았다는 건….”내시와 말을 나누던 단은 창살 옆에 쓰여 있는 그림과 글자를 발견한 뒤 말을 멈췄다. 벽에 있는 그림에는 창살에 갇혀 있는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었고, 그 옆에는 문제가 쓰여 있었다.“여기 벽에서 움직이고 있는 죄수들은 뭔가요?”“게임이론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야. 죄수의 ... ...
- [News & Issue]“지켜보고 있다” 쓰레기 투기 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가지로 제작했다(왼쪽 사진). 그리고는 이것을 교내에 주차된 자전거 316대에 부착한 뒤, 발견한 사람들이 어떻게 처리하는지 관찰했다.관찰 결과, 일반 홍보물은 15.6%가 길에 버려진 반면, 눈 사진을 넣은 홍보물은 4.7%만 버려졌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넛지 효과(nudge effect)’로 설명했다. 다른 ... ...
- [News & Issue]화성, 고리 없다(X) 생길 거다(O)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운명을 점쳐봤다.미국 UC버클리 벤자민 블랙과 터셔 미탈 연구원은 2000만~4000만 년 뒤에는 포보스가 붕괴돼 화성의 고리가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화성의 인력으로 생기는 조석력이 포보스의 응집력을 넘어서면서 미처 화성과 충돌하기도 전에 크고 작은 파편들로 분해된다는 것이다.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간 약 4조1500억 원(35억 달러)에 이른다. 가속기뿐만 아니라 가속시킨 입자가 충돌한 뒤 나오는 반응을 검출하는 입자 검출기도 암 진단에 쓰인다. 대표적인 것이 양전자단층촬영(PET)이다. 양전자(+전하를 띤 전자)를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포도당 유사체에 결합해 몸에 주입한 뒤, 몸에서 나타나는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윔프를 제안하는 논문을 썼고, 논문은 이 박사가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한 달 뒤에 출판됐다. 그는 지금까지도 이휘소 박사를 기억하고, 그리워했다.“벤 리(이휘소 박사의 미국 이름인 벤자민 리의 약자)요? 물론 기억하고 있죠. 사실 저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잘 못했는데, 벤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 1년 뒤 흡연자가 됐는데, 이들 4명 중 3명은 편의점에 주 2회 이상 가는 학생이었다. 2년 뒤 같은 조사에서도 편의점에 자주 가는 학생이 흡연자가 된 경우가 1.5배 더 많았다. 2015년 6월 26일 금요일 - 금연 177일째‘극혐’ 금연광고가 불편한 건 나뿐인가메르스 때문에 저녁 술자리가 줄어서 ... ...
- [과학뉴스]멍멍! 세계 최초의 시험관 개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정을 통해 수정체를 성공적으로 만든 연구팀은 이를 냉각시켜 안정된 상태로 만든 뒤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켰어요. 약 2달 뒤, 대리모는 7마리의 건강한 강아지를 낳았답니다. 3마리의 암컷 강아지와 4마리의 수컷 강아지였지요.트래비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희귀한 야생 개과 동물들을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전화기에서 보낸 음성 신호가 통신선을 따라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로 전달된 뒤, 상대방의 전화기로 보내지면 통화를 할 수 있었지요. 이때는 음성 신호만 주고받을 수 있었답니다.전화기가 내 몸 곳곳에, 스마트 웨어러블2016년인 현재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선 통화기기를 갖고 있어요. 전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자가 가장 먼저 카메라 리모컨을 완성했어요. 카메라 리모컨을 스마트폰과 연결한 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자 ‘찰칵!’ 소리와 함께 사진이 찍혔답니다. 이수린 기자는 “직접 장치를 만들고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어 즐거웠다”며, “카메라 리모컨이 아닌 다른 장치들도 만들고 싶다”고 ... ...
이전4754764774784794804814824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