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굶주린 아기새, 커서도 먹이 집착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작은 찌르레기는 몸집이 큰 찌르레기와의 경쟁에서 밀려 먹이를 잘 먹지 못했다. 열흘 뒤 찌르레기 새끼들을 동일하게 먹이가 풍족한 환경으로 옮겼다.10개월 뒤, 연구팀은 성체가 된 찌르레기들이 먹이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관찰했다. 새끼 때 먹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찌르레기는 양은 적지만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하면 거친 바닥으로도 이런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이 출발한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계산했다.이 기술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는 물론, 형태도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60cm 이하인 물체만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프랙탈 치즈 덩어리를 만들어 팔 수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프랙탈 치즈를 모두 팔고 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과 같은 부피의 치즈 덩어리가 남아있다(사실 문제가 하나 있다. 부피가 0인 프랙탈 치즈는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다. 고객이 없을 수도 있다).The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포 바깥에 그물처럼 생긴 덫을 만들어 침입자를 묶습니다. 이런 상태로 거리를 좁힌 뒤에 침입자를 공격해 다른 세포의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유속이 빨라 침입자에게 접근하기 어려운 혈관에서도 유용합니다. 손 대표 당신네들은 어떤 독한 훈련을 하기에, DNA를 밖으로 꺼내고도 멀쩡한 ...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아, 그렇다고 이들이 범인이라는 건 아닙니다. 굳이 범행이 가능한 사람을 꼽자면 뒤에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지요. 롤러코스터에서 터널을 지나는 시간은 약 10초 안팎으로 범행을 실행하기엔 턱도 없이 짧은 시간입니다. 그리고 저런 범행이 절~대 일어날 수 없는 또 하나의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건너 뛰고 스마트폰만 단말기에 갖다 대면 간편하게 결제가 이뤄지지요. 페이 서비스 뒤에는 어떤 정보통신 기술이 숨어 있을까요? 첫 번째는 토큰화 기술이에요. 토큰화 기술은 실제 카드 번호대신 가상의 카드 번호(토큰)를 사용해 스마트폰 안에 있는 카드정보를 안전하게 지켜 주는 기술이에요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겨울눈속에는 가장 어리고 연한 조직이 들어있어요. 무사히 겨울을 나고 봄을 맞은 뒤 새로이 자랄 부분이지요. 물론 가장 바깥은 아주 단단한 껍질로 철저히 무장하고 있어요. 우리가 겨울에 코트로 몸을 감싸 찬바람을 피하듯, 몰아치는 겨울추위를 단단히 막는 거지요.나무가 어떤 코트를 입고 ... ...
- [핫이슈] 잠든 책이 깨어난다! 구스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불리는 늑대인간의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 문학과 신화에 먼저 등장한 뒤 전세계로 퍼졌죠. 털로 덮인 피부와 얼굴은 늑대의 모습을, 체형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랍니다. 또 보름달이 뜨면 나타나고, 은으로 만든 무기에 약하죠.그런데 늑대인간에 대한 전설이 그냥 지어낸 ...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을 것 같아 보이는 그림이 엄청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서일까. 폴락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폴락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작품을 두고 종종 논란이 됐다.2003년에 발견된 24점이 대표적이다. 폴락의 친구였던 부친으로부터 그림을 물려 받은 알렉스 매터는 2006년 잭슨 폴락의 사망 50주년에 맞춰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리고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과연 약 2억 년 뒤 세계지도는 어떻게 생겼을까?우리 중에 그걸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겠지만, 수학과 과학으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도움 및 논문 : 최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