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잘 맞을까? 승률 예측은 ‘가정’에서 시작한다.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어차피 모두 계산할 수 없다. 몇 가지 대표적인 변수만 뽑아서 ‘실제와 같다고 치고’ 계산하는 것이다. 위쪽은 FIFA랭킹(또는 ELO랭킹)을 객관적인 팀 전력이라 가정하고 다른 변수를 무시했을 때 얻을 수 있는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실 휘거나 접는다는 사실 외에 중요한 점이 따로 있어요. 2~18GHz 파장대의 빛에서 모두 물체를 감출 수 있는 ‘광대역 투명망토’라는 겁니다. 한마디로 ‘잘생긴’ 투명망토인 거죠.” 최초의 투명망토는 주파수가 8.5GHz인 마이크로파에서만 물체를 숨길 수 있었다. 주파수가 0.1GHz만 높아져도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다는 것이다. 벽이 두꺼운 머그나, 보온이 잘 되는 보온병이 좋다. 물론, 냄새 분자가 모두 날아가기 전에 마셔야 제 맛을 알 수 있다.보기 좋은 떡이 정말 맛도 좋다이탈리아의 요리사인 필립포 마리네티는 1932년에 출간한 ‘미래주의자 요리책’에서 손가락을 벨벳과 사포에 각각 올려놓고 같은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닥 치면 어떻게 하느냐고 불안에 떠는 아들에게, “또 다시 공격을 당 해서 죽는다면 모두 함께 죽을 것”이라고 말했죠. 아들은 엄마와 떨어지는 걸 가장 두려워 했어요. 엄마는 아들에게 설령 같이 죽 을지언정 절대 혼자 남지 않게 할 것이라고 달랬던 것이지만, 미 국인 치료사는 결코 이해할 수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로마의 정치가 마르쿠스 키케로는 아르키메데스의 무덤을 찾으려고 했다. 수많은 무덤을 모두 조사한 끝에 무성하게 자란 관목 위로 솟아 나온 아르키메데스의 묘비석을 찾았고 무덤 주위를 복원했다. 이런 관심은 얼마 동안은 계속됐지만, 이 무덤은 또 다시 잊혀졌다. 2000년이 흐른 1965년, 그의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바다가 있으며, 여기 에 인, 황, 칼륨 같은 물질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모두 생명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들이 다. 과학자들은 이런 환경이라면 미생물과 같은 생명체 가 살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10쪽 INSIDE 참조).유로파나 엔셀라두스에 우리가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확인 결과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가 무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세 마리 모두 숨구멍부분이 움푹 파이거나 어깨뼈가 튀어나오는 등의 야윈 흔적이 없고 건강해 보였다.올해 3월 27일에는 애월읍 고내리 해상에서 제돌이를 관찰했다. 영양 상태는 매우 양호했고 50여 마리의 다른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연인이 있다.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로 여자는 기억상실증에 빠져 자신의 과거를 모두 잊었다. 하지만 남자를 만날 때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설렘을 느끼다, 결국 처음 만나 사랑을 나눈 장소에서 갑자기 모든 기억이 되살아났다. 둘은 다시 사랑에 빠진다.드라마에 나올 법한 이야기이다. 실제로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제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할 거예요. 올해 새로 지은 건물에 이사도 했고, 장비도 모두 새 것이니 자신 있습니다. 특히 앞으로 당뇨병과 대사질환 전문 병원으로 거듭날 겁니다.”“단순히 정보를 쌓아놓은 게 아니에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변수만 모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볼 줄 알았던 거예요. 물론 예외도 발견됐습니다. ‘짖는원숭이’는 개체별 차이 없이 모두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고, ‘밤원숭이’는 모든 개체가 3원색을 볼 수 없었습니다(64쪽 인포그래픽 참고).영장류 중 가장 오래된 원시원숭이는 대부분 두 색만 구분하거나 아예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