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11
결정체이자 세계우주협력의 상징물인 국제우주정거장(ISS)이 탄생했다.2000년 12월 2일
미국
우주인 1명, 러시아 우주인 2명이 러시아의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처음 ISS를 방문했다. 그 뒤 지금까지 16개 나라 164명이 ISS를 방문했다. 우리나라 이소연 박사가 2008년 4월 10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ISS에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짧게 책정돼 있어 생산과 배송 스케줄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김태석 센터장은 “
미국
의 경우 매장의 냉장 기준이 4.7℃이하인데 우리나라는 10℃이하”라며 “지금보다 온도를 5℃만 낮춰도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실험실을 나오니 이번엔 관능평가실이다.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11
, 지프 카몬(싱가포르 INSEAD) ‘비싼 가짜 약이 싼 가짜 약보다 효능이 더 좋다’(
미국
의학협회저널)인지과학 > 토시유키 나카가키(일본 호카이도대), 히로야수 야마다(일본 나고야대), 리오 고바야시(일본 히로시마대), 아추시 테로(일본 과학진흥사업단), 아키오 이쉬구로(일본 토호쿠대), 아고타 토스 ... ...
물고기도 리듬 탄다
과학동아
l
200811
메기가 다가오는 시간을 시시각각 인지할 수 없다면 이 상황을 위기로 인식할 수 있을까.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분자세포생물학과 푸 무밍 교수팀은 천적이 추격해 올 때 동물이 초 단위의 시간 간격을 뇌의 뉴런으로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 ‘네이처’ 10월 16일자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11
직접 입어보고 우주평형감각 훈련장비인 자이로스코프도 탑승해 체험할 수 있다. 이곳은
미국
케네디우주센터의 방문자센터에 버금가는 체험시설과 체계적인 전시내용을 갖췄다는 게 과학관 측의 설명이다. 또 현재 고도 680여 km에서 지구를 돌고 있는 아리랑 위성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도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11
교수 >영남대 기계공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KAIS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와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0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사업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장으로서 생명체의 극미세 ... ...
붓질하면 다 나와!
과학동아
l
200811
나오기 전까지는 '당신이 범인'이라고 단정 짓지 않는다.”과학수사대 얘기를 다룬
미국
드라마 'C. S. I.'의 길 그리썸 반장은 용의자에게 이렇게 말하곤 한다. 첫 증거로 지문이 발견되면 말이다.지문이 같을 확률은 10억 분의 1.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서로 다르다. 그래서 곤충학자인 그리썸 반장도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완공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냉중성자 연구시설이 없다. 그동안 최 교수팀은
미국
표준연구소의 시설을 빌려써야 했다. 연구실 박사과정 도창우 씨는 “이용 횟수도 1년에 한두 번 정도로 한정돼 있고 연구시설을 사용하기 위해 신청한 뒤 기다리다 보면 2~3달 걸릴 연구가 1년 이상씩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11
신경세포에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은나노입자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은나노 세탁기가 안전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라고 요구했다. 2009년 5월까지 증거를 제시하지 못 하면 은나노 세탁기의 수입은 일절 금지된다.이 교수는 “최근 연구실에서 실험한 결과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11
풍긴다.JPL에서 지구과학 기술 개발 총괄자로 근무하고 있는 제이슨 현 씨는 “1958년 JPL이
미국
최초 인공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를 쏘아 올리면서 NASA가 시작됐다”며 “JPL은 NASA 50년 역사의 산증인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고 말했다. 초기에는 로켓에 대해 연구했기 때문에 제트추진연구소라는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