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뿐이야. 땅은 원래 우리가 살던 터전인데 그걸 두 동강을 내 버리거든.내가 살던 곳에도
지난
달 길이 새로 생겼어. 시원하게 뚫린 4차선 도로지. 자동차는 신이 나서 씽씽 잘도 달렸지만 우리는 무서워서 길 근처에도 가지못하고 있어. 이제는 달고 시원한 호숫물을 마시려면 목숨을 걸고 찻길을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난
10월 13일 강화도 ‘매화마름 군락지’, 강원도 ‘오대산국립공원습지’, 제주도 ‘물장오리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새로 지정 등록됐다. 이로써 우리나라 람사르 습지는 모두 11곳이 됐다. 제주도에서는 2006년 물영아리오름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이후 두 번째 쾌거다. 람사르 습지 ... ...
名品김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무난히 1위를 차지하며 일찌감치 그랑프리파이널 출전권을 땄지만, 마오 선수는
지난
11월 15일 프랑스에서 열린 4차 대회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하며 2위를 해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방 해설위원은 “주니어 시절부터 이어져온 두 선수의 라이벌 대결은 이번 대회에서도 이어질 것”이라며 “김연아 ... ...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배포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의 마리아 호세 자발라 등.이들 열혈 ‘환경전사’들이
지난
11월 2일 독일 레버쿠젠에서 만났다. 18개국 대학생 50명이 참가한 바이엘 청소년 환경대사 프로그램(BYEE)이 이 곳에서 열린 것.바이엘과 유엔환경계획(UNEP)이 주최한 이 행사는 동남아시아·중남미·아프리카 등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Nada’ ‘별하늘지기’ ‘별아름’ 같은 아마추어천문 동호회 정회원이다. 독자사진
지난
달 수상작 박혜영 씨의 ‘대마젤란과 소마젤란’. 호주 서부 사막에서 대마젤란은하(가운데 구름 같이 뿌연 부분)와 소마젤란은하(오른쪽 위 모서리)를 찍었다. 보면 장수한다는 전설이 있는 노인성(왼쪽 ... ...
일본 과학기술 발전의 기둥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는 국가의 체계적인 지원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일본은
지난
1995년부터 50년간 3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다는 국가적인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기초과학 분야에 투자를 해왔다. 일본의 국가적인 이공계 발전계획의 중심에 있는 대학이 바로 도쿄공업대다. 도쿄공업대는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위기? 졸업생 중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한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어딜까.
지난
10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영진 의원(민주당)은 국정감사에서 “전체 대학 중에서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한 비율이 KAIST가 3.2%로 가장 높다”고 밝혔다.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한 학생까지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옷을 나에 맞추는 ‘패션 2.0’ 시대가 머지않았다.독일에선 ‘매직거울’ 보고 옷 산다
지난
8월 29일부터 9월 3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박람회인 IFA가 열렸다.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초대형 옴니아폰(삼성전자)부터 손가락을 대면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멸망할 것인가. 이찬희 충북대 미생물학과 교수 chlee@cbu.ac.kr 독감으로 4000만 명 죽어
지난
6월 개봉한 영화 ‘둠스데이: 지구 최후의 날’의 줄거리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신종 바이러스가 지구를 위험에 빠뜨린다는 설정이다. 위험지역에 생존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에게서 바이러스를 무력하게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나노부품을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나노집게로 일일이 제자리에 옮겨놓을 수는 없는 일.
지난
10여 년 동안 나노붐이 거세게 일었지만 최근 주춤한 이유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이 벽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연구단은 특정 위치에서만 나노막대와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