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Sports Math] 골프, 핸디캡 얼마면 타이거 우즈 이길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010년 스윙속도와 공 속도의 관계를 수식으로 정리해 발표하기도 했다. 이 식은 광고(왼쪽
사진
)에도 쓰였다. cr은 반환계수로 골프채와 골프공의 충돌이 탄성충돌일 경우 1이 되는데, 실제는 이보다 작다. 보통 0.78이다. 이에 따라 스윙속도가 시속 200km인 타이거 우즈가 친 공의 속도를 앞에서 제시한 ... ...
'수학' 연구소 아닌 '수리과학' 연구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더 수학이 좋아서입니다. 누구보다 수학에 대한 애착이 컸죠.”김정한 수리연 소장(
사진
)은 물리학을 전공하고도 수학자가 된 이유를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김소장은 “항상 다른 분야에 대한 관점을 가질 수 있어서 좋다” 며 다른 전공을 공부하고 수학자가 돼서 좋은 점을 설명했다. 그는 ... ...
포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MIE 수업 현장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네요. 6학년 임요섭 학생은 혼자서 5단계까지 한번에 성공했어요. 기자도 2월호에 실린
사진
을 촬영하느라 다빈치 다리를 만들어 보았지만 막대와 막대가 부딪혀 막대 방향이 조금만 바뀌어도 쉽게 무너져 고생했던 기억이 아직 생생한데, 요섭 학생은처음 해 보는 거라고 하는데도 잘하네요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수업을 시작한다. 얇은 옷차림이 알프스 정상에서는 두꺼운 겨울옷으로 바뀌는 점을
사진
으로 보여주며, 여름에 만년설이 가능한 이유를 학생이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이때 학생이 높이에 따라 기온이 변한다는 사실을 말하면 이런 관계가 곧 함수라는 것을 이해시키는 방식으로 수업을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자의 DNA에도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특수하게 설계된 분석 장비를 이용해야 한다.
사진
은 게놈 분석 장비로 DNA를 검출하는 장면.]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를 현대인의 유전자와 비교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일부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위해서다. NASA와 록히드마틴사가 설계해 2010년 6월에 공개한 초음속 항공기(47쪽
사진
)는 주둥이가 뾰족하고 길어 갑오징어를 닮았다. 작은 날개가 뒤쪽에 달려 있다. 짧은 꼬리날개는 주 날개와 연결돼 있어서 소닉붐도 줄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비행기가 2030년쯤에 상용화될 것이며 미국 ...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적극적인 과정이 나타나야 한다. 그밖에 발명 자료도 낼 수 있으며, 실험한 내용은
사진
을 첨부해야 좋다. 단순히 문제를 많이 풀었다고 문제집을 자료로 낸 지원자들은 점수를 제대로 못 받는다.올림피아드를 준비하거나 선행학습을 하는 게 입시에 유리한가?최종 선발한 후에 확인하면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또 다른 아름다움을 뽐낸다.미국지질조사국은 지구관측위성 랜샛5호와 랜샛7호가 촬영한
사진
중 아름다운 작품을 골라 ‘예술로서의 지구’라는 온라인 전시회를 열고 있다. 지난 2007년 첫 작품집을 공개한 이래 이번이 세 번째다. 순전히 예술적인 기준으로 뽑힌 이 작품들은 여느 인간 화가의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등장하던 ‘슈퍼 농작물’ 개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건국대 생명공학과 임준 교수(
사진
)팀은 미국 듀크대 타이핑선 교수팀과 공동으로 식물 성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이 어떻게 세포 내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어떻게 뿌리에 신호를 전달하는지 분자수준에서 규명해냈다고 밝혔다. 이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액체로 털이 닿았던 면에만 남아 있다.➋ 왼쪽은 매끄러운 대벌레 발바닥의 현미경
사진
이고 가운데는 확대 이미지이다. 오른쪽은 면에 남은 액체의 자국으로 발바닥 전체가 닿았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1665년 출간한 ‘현미경 보도’에 실린 파리 발 스케치. 훅은 발의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