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아름다운 블랙홀 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충돌은 하 주변에서 블랙홀들이 둥근 반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광경을 포착했어요.
사진
은 찬드라X선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수집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재현한 이미지랍니다. 타원은하(옅은 분홍색 타원)가 나선은하를 뚫고 지나가면서 가운데가 빈 나선은하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모든 강의를 쉰 채 학과별로 교수와 학생 간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사진
은 교정 잔디밭에 모여 있는 교수와 학생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누가 영재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나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Part 2. 똑똑해서 슬픈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오케스트라일까. 수컷 딱정벌레의 앞다리 빨판을 광학현미경과 컬러 필터를 이용해 찍은
사진
이다. 이 딱정벌레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물속에서 곤충이나 올챙이, 물고기 등 먹이를 사냥하며 지낸다. 짝짓기도 물속에서 하는데, 앞다리에 있는 넓적한 근관절로 암컷을 붙잡는다. 이 근관절에 크고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천리안이 한반도 상공 정지궤도에 올라서자마자 테스트 목적으로 찍은 첫 번째 기상
사진
이다. 천리안 위성은 그 이후 9개월의 시험운영을 마치고 올해 4월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➋ 항우연에서 천리안 위성을 점검하고 있다. 천리안 위성은 2003년부터 국가 중장기계획에 따라 프랑스 ... ...
'마르코 비온디갬'의 일기 예보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1엉망진창이 돼 버린 천문대 안에서 루베레를 찾아보자. 루베레는 썰렁홈즈가 들고 있는
사진
속의 옷과 같은 옷을 입고 있다. 글레이셔 일기도의 순서는?간신히 루베레를 찾아낸 썰렁홈즈. 하지만 루베레는 일기 예보를 발명하기 전이었다.“맞아! 루베레는 영국의 기상학자 제임스 글레이셔의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끝나면 장기를 원래 자리에 넣고 근육과 피부를 덮어 봉합한다. 부검하는 동안에는
사진
담당 연구관이 모든 장기와 외상을 촬영한다. 부검을 하는 데는 총 40분에서 길게는 3시간이 걸린다. 국과수 김유훈 법의관은 “부검만으로 100% 완벽한 사인을 알아내기는 어렵다”며 “현장 상황과 사건의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캄보디아는 현재 준 전시상태다. 태국과의 국경지역에서 11세기 힌두교 사원 ‘프레아 비히어’를 두고 양국이 지난 2월 4일부터 교전을 벌인 뒤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접경 지역에 살던 양국 주민 수천 명이 대피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도 캄보디아의 작은 마을 ‘트랑군’ 에서는 ‘과학공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가 스마트폰을 기울여 게임을 하고, 내비게이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 멤스(MEMS) 기술 덕분입니다. MEMS 기술로 초소형 위치센서나 가속도센서를 개발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MEMS란 미세전자기계시스템을 일컫는 약자로 최근 잉크젯 프린터, 자동차 가속도계 등 많은 전자기기에 쓰인다.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옮기는 기술은 3차원 바디스캐너라는 기계를 이용한다. 카메라로
사진
을 찍거나
사진
을 스캐너로 훑으면 컴퓨터에 똑같은 그림이 생기듯이 사람의 몸도 3차원 스캐너로 촬영하면 컴퓨터 모니터에 3차원 아바타가 생긴다. 3차원 아바타는 키와 가슴 둘레, 허리둘레 등 치수를 재거나 옷을 입고 벗을 수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강화하고, 전기 없이도 냉각수 순환이 가능한 패시브 방식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사진
은 건설 중인 신고리 3, 4호기의 모습.건물 구조는 어느 쪽이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제무성 한양대 교수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은 격납공간이 2중으로 튼튼하게 돼 있다”며 “우리나라는 두께 1.5m 정도의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