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길을 안내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대표적인 경우야. 내비게이션은 위성을 이용해
지구
상의 어떤 위치라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를 갖춘 제품이지. 휴가를 맞아 서울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차를 타고 간다고 생각해 봐. GPS는 매 순간 바뀌는 나의 위치를 x로 삼아 현재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0.3또는 0.4일 때문에 일식은 24시간 × 0.3 또는 0.4 = 약 8시간 만큼 늦어진다. 그 동안
지구
도 자전하므로 일식을 볼 수 있는 장소가 서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8시간씩 늦어지는일이 3번 모이면 꼭 하루가 늦어지기 때문에 6585.3일이 3번 지나면 또다시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일식을 볼 수 있다.6585.3일을 ... ...
왜 2000원짜리 돈은 없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중에서 돈의 그림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인물 초상입니다. 현재까지
지구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돈에 가장 많이 등장한 인물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입니다. 과거 영국이 세계를 지배했었고 지금도 캐나다, 뉴질랜드 등 50개국은 영국연방 국가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우리나라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
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변화를 예측한다 할지라도 겸손한 마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구
온난화 문제의 해결책을 다른 자연적 요인보다 인간의 활동을 진지하게 바라보는 데에서 찾는 노력이다.문용재 교수는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장을 지냈으며 경희대 우주과학과에서 태양 물리,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도플러 효과로 파장이 길어지므로(적색편이) 태양과 비슷한 별이 가시광선을 내뿜더라도
지구
에 도달할 즈음에는 별빛이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으로 바뀐다.초거대 블랙홀의 존재 이유“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허블의 관측 이래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형성과 진화에 대해 많은 사실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향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별 B의 시운동 궤적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별 B는
지구
의 공전궤도면과 나란한 황도에 있다. 2) 별 A는 1년 동안 반지름이 0.04″인 원 궤적을 그리므로 연주시차는 0.04″이다. 별 B의 연주시 차는 약 3개월간 배경별에서 가장 멀어진 각이 0.01″이므로 연주시차는 .0 ... ...
“다윈과 진화과학의 지적 소나기에 흠뻑 젖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갈라져 독립적으로 진화했다는 사실이다.이날 한 강연자는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지구
상에서 유일하게 ‘언어’를 쓰도록 진화했다”며 “동물들의 의사소통은 복잡성이 떨어져 언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간과 대부분의 유전자가 일치하는 침팬지의 권리를 주장하는 강연자가 있는가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적으나 병에 강한 품종 B를 교배하면 수량은 많고 병에 강한 품종을 골라낼 수 있다. 현재
지구
상에는 수백만 가지의 새로운 품종이 재배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95% 이상이 교잡육종 방식으로 육성됐다.교잡육종은 여러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육종의 소재가 되는 유전자원을 수집한다. 이때 원칙은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다. 이동인 교수는 부산수산대를 졸업한 뒤 일본북해도대에서
지구
환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부경대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환경대기연구실에서 레이더기상학과 구름 및 강수의 미세물리학을 연구한다. ‘편파파라미터 차등위상을 이용한 편파레이더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표면에 자기장을 유도해 두뇌 피질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도록 개발됐다. 이때 자기장은
지구
자기장의 2만~4만 배에 해당하는 2T(테슬라) 정도이며, 자기장의 진동을 달리 해서 자극하는 부위의 뇌 활성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TMS 장치는 지각, 기억, 집중, 정서와 같은 다양한 두뇌 기능을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