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사람들도 당연히 이런 점을 고려해 계획을 세운다. 문제는 우리가 장기전에 필요한 에너지와 시간을 과소평가한다는 것이다. 이미 어떤 일에 익숙한 이들에게 다시 그 일을 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보라고 하면, 실제계획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보다 절반 정도로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등신으로 귀여웠고, 방법도 매우 간단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었지. 그때의 우리는 오락을 하기 위해 오락실에 모였단다.*MMORPG : 대규모 다중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줄임말. 온라인으로 연결된 여러 플레이어가 같은 공간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많은 친구들을 재미로 부르르르~ 떨게 만들었던 멋진 실험! 어떤 실험이었는지 우리 함께 만나 볼까요?이번 실험은 손을 대지 않고도 자석으로 켜고 끌 수 있는 진동 로봇이에요. 손을 대지 않고도 로봇을 켜고 끌수 있는 이유는 자석이 가지고 있는 힘인 ‘자기력’과 ‘자기장’ 덕분이지요.유리판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사물, 사물과 사물사이에 정보를 교류하는 사물인터넷이 확대되면 똑똑해진 사물 덕분에 우리 생활은 지금보다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웨어러블 컴퓨터★ 휴대하며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컴퓨터를 총칭한다.]조립하고 코딩해서 만든 나만의 사물인터넷!사물인터넷을 직접 만들어 볼 수는 없을까?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플라톤은 그의 저서 ‘티마이오스‘에서 처음으로 정다면체를 기술했다. 플라톤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이 흙, 공기, 물, 그리고 불로 이뤄져 있다고 믿었고, 정다면체를 이 4원소(흙, 공기, 물, 불)에 대응시켰다.정사면체는 불이 타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했고,정육면체는 가장 안정적이고 단단해 ... ...
- [News & Issue]왜소행성 세레스, 혜성처럼 행동한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소행성대에 위치한 왜소행성 세레스에서 최근 혜성의 특징이 발견돼 과학자들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던(Dawn) 탐사선은 2015년 3 ... 일으키고 있다. 미국의 과학저널 ‘뉴사이언티스트’는 “행성과 혜성, 소행성을 나누는 우리의 기준이 너무 단순하다”고 지적했다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대안 노력도 계속돼다행히 조금씩 대안이 마련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에서도 표준화와 규제 관련 논의가 시작됐다. 이강 산업통상자원부 전자전기과 사무관은 “일부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다”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만든 ‘3D 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에 따라 재료와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초기조건에 대한 결과의 민감성’을 설명한다.Butterfly어떻게 하나, 나비 같은 우리 만남로렌츠와 얽힌 또 다른 나비가 있다. 로렌츠는 여러 변수로 기상현상을 설명하는 미분방정식을 점점 간단하게 만들어서 딱 세 개의 식으로 줄였다 (로렌츠 방정식).이 식들은 비선형(nonlinear) 미분방정식이다.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우리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은 어디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표준모형’이다. 세상의 근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인류가 지금껏 깨달은 모든 것을 담은,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한 이론이다. 외계 지적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가 아니라 본능적인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인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 ...
이전467468469470471472473474475 다음